7일 군과 청와대 등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집권 이후 첫 장군 인사가 있었던 2017년 9월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은 서울 용산 국방부 인근 키피숍에서 이들을 만났다. 당시 청와대 인사수석실 소속이었던 정 모 행정관이 군 인사 업무를 맡은지 얼마되지 않았던터라 이에 대한 자문을 구하는 자리였다는게 청와대와 군의 설명이다.
문제는 ‘격’(格)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군 인사선발과 진급 시스템 등에 대한 자문을 위한 자리였다면 총장이 아닌 육군인사사령부나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실무자를 만나는게 정상이기 때문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저도) 인사수석이나 인사비서관이 (육군총장을)만나는 게 예의에 맞다고 생각한다”면서도 “4급 행정관이든 인사수석이든 똑같이 대통령의 지침을 받아 수행하는 비서이기 때문에 못 만날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만남을 요청한건 일면식도 없는 정 행정관이 아닌 육군사관학교 후배로 당시 국가안보실 소속이었던 심 모 대령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심 대령은 노무현 정부시절 국정상황실에서 근무한 전력이 있다. 송영무 전 국방장관의 인사청문회 대응반(TF)에도 있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다시 청와대에 입성해 국가안보실에서 근무했다. 김 총장과의 만남 이후 12월 장성급 인사에서 준장 진급에 성공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심 모 행정관은 정규 진급이 아니라 2년 임기제 진급”이라면서 “2년 보직 뒤 퇴역하는 게 일반적인 인사”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임기제 진급 역시 상당한 경쟁률을 뚫어야 한다는 점에서 인사청탁 의혹의 눈초리는 여전하다.
정 행정관은 이날 김 총장과의 면담 후 들고 있던 서류가방을 분실했다. 이 가방에 든 서류는 군 인사검증 자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분실해 10월로 예정됐던 군 정기인사가 12월 말까지 늦춰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7년 12월 28일 장성급 인사 당시 국방부 인사기획관실은 “왜 장군인사를 12월에 했나”, “청와대에서 인사검증을 과하게 해서 인사가 늦어졌나”, “청와대에서 인사검증을 통해 진급될 인원과 안될 인원을 사전에 내려줬다는데 맞나” 등의 언론 예상 질의에 대한 답변을 준비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