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장은 “과거에는 힘,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이었다면 지금은 도덕이 지배하는 세상이 된 것 같다”며 “국내에서 미투, 학폭 논란에 이어 도덕적 결함이 있는 기업이 치명적 상처를 입는 것처럼 착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최근 기업이 ESG 실천을 요구받고 있는 것에 대해 이 의장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정의했다. 그는 “기업 입장에서도 과거에는 주주 요구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최근 ESG 투자가 확산하면서 환경(E), 사회(S)에 관한 주주 요구사항이 늘어 내년부터 주주제안이 폭주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며 “기업도 주주 요구에 따라 준비와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장은 “과거 기업이 재무적 요소를 중심으로 기업설명회(IR)나 홍보(PR)활동을 펼쳤다면 지금은 ESG위원회도 신설하고 ESG요소를 가미시킨 IR·PR 활동을 준비하고 있다”며 “그렇지만 이러한 활동이 단순 보여주기식이 돼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ESG경영과 기업의 수익실현을 공존시키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장은 “결국 기업이 투자를 통해 환경, 에너지와 관련한 기술을 개발하고 수익성을 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며 “수익과 ESG실천 공존을 위해서는 기업이 기술혁신을 이뤄내 헤쳐나갈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관계 당국에는 기업의 ESG활동과 관련한 포괄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요청했다. 그는 “수시공시나 정기공시를 통해 기업의 ESG실천상황을 보여주는 등 간단한 가이드라인이 있으면 좋겠다”며 “정부도 평가 기준 마련에서 서두르지 않더라도 일단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대표이사와 고문을 역임하고 최근 라이프자산운용 이사회 의장으로 선출된 이 의장은 라이프투자자산운용에서 ‘ESG 행동주의 사모펀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그는 “ESG 평가지수는 좋지 않지만 시장의 오해 등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 또는 저평가된 기업 중 ESG 개선 여지가 많은 기업에 조언을 주고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ESG 평가기관과 협약을 체결하고 자문단 구성하는 등 완성도를 높인 뒤 3분기 내로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