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최초 ‘벼 3모작 시대’, 충남서 개막

박진환 기자I 2021.08.17 15:37:54

충남도 농업기술원, 2009년 재배 기간 줄인 '빠르미' 개발
토질개선 및 작물수량·상품성 제고 등 농가소득 증대 효과

17일 충남 청양의 한 시설하우스에서 빠르미 수확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청양·부여=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국내 최초로 충남 청양과 부여에서 ‘벼 3모작 시대’가 개막한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17일 청양과 부여에서 ‘시설하우스 3모작을 위한 빠르미 수확 행사’를 개최했다. ‘충남 빠르미’는 국내 벼 품종 중 재배 기간이 가장 짧다. 청양의 시설하우스에서는 올해 1∼5월 수박을 재배한 뒤 지난 6월 9일 빠르미를 이앙해 불과 69일 만인 이날 벼베기를 진행했다. 오는 25일에는 2차로 빠르미를 이앙하고, 11월 중순경 수확해 3모작을 완성할 계획이다. 그간 이 농가는 봄철에 수박을 재배한 뒤 일반 벼를 심어 10월경 수확해왔다.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토마토를 재배하던 부여 시설하우스에서는 지난 5월 작물 재배를 마치고, 같은달 25일 빠르미를 이앙했다. 이어 84일 만인 이날 수확을 마쳤으며, 내달 3일 오이를 심어 12월 중순경 수확할 예정이다. 부여 시설하우스는 대체로 10∼5월 토마토, 6∼9월 멜론, 1∼5월 수박, 6∼9월 멜론, 10∼12월 수박이나 오이를 키우며, 2∼3모작을 하고 있다.

문제는 시설작물 3모작은 연작 피해를 일으키며,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는 점이다. 시설하우스 토양 내 비료 등 염류 집적은 그간 농가의 가장 큰 골칫거리였다. 지속적으로 사용해온 농약과 비료는 토양에 염류를 집적시켜 작물 수확량을 감소시키고, 상품성을 떨어뜨려 농가 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토양 내 염류 집적 해결 방안으로는 담수 제염과 객토, 흡비작물 재배, 표토 제거, 미생물제제 처리 등이 있다. 이 중 벼 재배를 통한 염류 제거는 효과가 85% 가량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반 벼 재배는 휴경 기간이 2∼3개월에 불과해 이 방식은 적용이 불가능했다. 이에 따라 시설농가에서는 벼를 재배하지 않고 물만 채워 놓거나, 벼를 심더라도 후속 작물 재배 시 대부분 갈아엎었다. 빠르미를 개발한 윤여태 박사는 “시설하우스는 염류 집적 문제 해결 방안으로 작물 재배 중간 벼 재배가 가장 이상적이지만 긴 생육 기간 때문에 벼 대신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며, 땅을 혹사시켰다”면서 “이는 수량과 상품성에 악영향을 미치며, 동일한 인건비와 자재비를 투입하고도 소득이 줄어드는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양 시설하우스와 같이 충남 빠르미는 70일 안팎에도 수확이 가능한 만큼 짧은 휴경 기간 내 재배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두 시설작물 재배 사이 휴경 기간에 빠르미를 재배함으로써 토질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작물의 수량과 상품성을 높여 소득 증대까지 연결한다. 또 수확한 빠르미는 비교적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현재 전국 대형마트 온·오프라인으로 판매 중인 빠르미 가격은 1㎏당 최고 5925원으로 지난해 충남에서 생산된 쌀 평균가격(1㎏당) 보다 1000원 안팎 비싸다. 이날 행사에서 양승조 충남지사는 “대한민국 벼 품종 최초 7월 수확이 가능하고, 2기작을 성공했으며, 시설하우스 3모작도 가능한 빠르미는 충남 농정의 혁신과 도전을 상징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빠르미는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국내외 조생종 품종을 교배해 개발한 극조생종 품종으로 △2기작·노지 2모작·시설하우스 3모작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 △노동력·농자재·수자원 절감 등의 장점을 갖고 있는 벼 품종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