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당시 처음 나온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되살렸고 종합부동산세 세율을 대폭 강화했다. 대출금지나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등은 현 정부 들어 처음 나왔다.
특히 지난해 연말 나온 12·16 대책은 ‘규제 끝판왕’이란 별칭이 붙을 때도로 센 규제였다. 투기과열지구 내 15억원이 넘는 고가주택에 대해서는 아예 대출을 중단시켰고, 9억원 넘는 주택도 ‘9억원 초과분’에 대해선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20%까지만 인정했다. 9억원 넘는 집을 가진 유주택자는 전세대출도 받을 수 없게 했다.
|
문정부 들어 나온 주택시장 규제 방안 발표는 미세조정부분까지 모두 포함하면 약 30개가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시장 통제를 위해 범정부 대책이라고 꼽을 만한 것은 20회 정도다. 노무현정부 때는 5년간 30회 정도 대책이 나온 점을 감안하면 문정부도 앞으로 수차례의 규제방안을 더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해 연말 12·16 고강도 규제대책의 후속조치인 ‘2·20 수도권 조정대상지역 강화 대책’이, 지난 5월6일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등이 나왔다. 시장에선 12·16대책을 18번째 공식대책으로 부른다. 이를 감안하면 17일 발표예정인 규제안은 21번째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정부가 내놓은 규제대책 약발은 길어야 6개월, 짧게는 2~3개월에 그쳐 매번 추가규제대책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규제가 규제를 부른 셈이다.
|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유동성이 많을 때는 대도시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데, 우리나라는 대도시를 틀어 막으니 중소규모 도시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며 “어쩔 수 없이 중소도시까지 막아야 하는 상황이 된 것으로, 기초체력이 약한 가운데 규제를 강화하면 지역경제가 받는 충격은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