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별개로 현재 우리 대표단은 이란 최고지도자 측 고위 관계자들과도 접견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란 핵합의 주역 자리프 외무장관, 이번 사태 해법도 중재할까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이란시각 11일 오전 자리프 외교장관 등 이란 측 고위 인사들과의 면담이 예정돼 있다”며 “이러한 면담을 계기로 다시 한 번 우리 선박과 국민의 조속한 해제를 요청하고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자리프 장관은 2015년 이란 핵합의(JCPOA) 협상 타결의 주역으로 한때 ‘국가 영웅’ 대접을 받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9년 5월 이 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하면서 자리프 장관의 입지 역시 흔들렸다. 그럼에도 그가 책임을 지고 사표를 던지자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국회의원 150여명이 직접 나서 이를 만류할 정도로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당시 자리프 장관을 외교를 비판해 온 거셈 솔레이마니 전 혁명수비대 사령관 역시 “자리프 장관이 이란 외교의 총책임자다”라며 한발 물러섰다.
현재 우리 정부는 이란 측이 한국 선박을 억류한 배경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접근하고 있다.
현재 이란 측은 이번 사건에 대해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가 중대한 오염행위를 했기 때문이라며 한국 내 원화 자금 동결 문제와는 별개의 건(件)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그러나 해당 선박은 환경오염 행위를 강하게 부정하고 있고 이란 측 역시 아직 증거를 제출하지 않고 있어 이를 마냥 받아들이기도 어렵다.
아울러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요동치는 국제역학 속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이번 사건이 발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 기사 : 7조원 때문에 선박 나포했다고?…미·이란 싸움에 등 터진 韓)
이런 상황에서 자리프 장관과의 만남은 이번 사건의 배경을 짚어보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사건을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한 묘안을 얻어내는 기회가 될지 주목된다.
◇“美제재보다 韓의지가 더 큰 문제” 강경파 불만 진정시켜야
한국케미를 억류한 당사자는 이란 정부가 아닌 이란 혁명수비대로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직속 군 조직이다. 따라서 이란 외교부와의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된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이란 혁명수비대의 설득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현재 최 차관 등 정부 대표단은 최고지도자 측 고위관계자와의 만남 역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란 혁명수비대는 ‘온건파’인 이란 정부와 달리 ‘강경파’가 많다. 특히 지난해 1월 솔레이마니 전 사령관이 미국 드론 폭격에 사망하는 등 반미감정이 최고조에 달아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란측은 미국 제재에 동참하는 한국 정부에도 강한 책임을 물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최 차관과 만난 압바스 아락치 외무차관은 한국 내 은행에 이란 자금이 동결된 이유에 대해 “미국의 제재보다 한국의 정치적 의지의 결여가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란의 강경파와 가까운 정권의 한 내부자는 “한국은 모욕을 당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가 약과 백신 구매가 절박한 때 이란의 자금을 묶어둘 수 없다는 걸 깨달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석방 협상을 위한 우호적인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 역시 진행하고 있다.
최 차관은 아락치 외무차관외에도 이라즈 하리르-치 보건차관과 연쇄 회담을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질적인 보건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고경석 중동아프리카 국장이 끄는 실무 대표단 역시 이란 보건부, 식약처 담당자와 접촉했다.
한편, 현재 이란 남부 항구도시 반다르아바스인 한국케미 선원들은 지난 8일 가족들과 통화를 마치고 서로의 안전을 확인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선원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베트남 등 제3국 국적 선원들에 대한 안전 역시 확인해 해당국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통화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영사접견을 추진 중이고 이란 당국도 협조적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