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김 위원장의 ‘신변 리스크’는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올 초 문재인 대통령이 여러 차례 제안한 대북구상에 북한이 여전히 호응 않고 있어 침묵이 길어질 경우 남북관계 동력을 상실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이날 서훈 국정원장 배석하에 전체회의를 열고 김 위원장과 북한 동향을 보고받았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간사는 브리핑에서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공개활동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정상적으로 국정운영을 했다’고 보고했다”며 “김 위원장이 최근 최대 현안인 코로나19 방역과 물가대책수립, 군기확립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
또 김 위원장이 간단한 시술조차 받은 적이 없다고 판단했다. 국정원은 전문가를 인용해 “가벼운 수술이라도 북한 지도자가 건강관리를 받아야 한다면 4~5주 정도가 걸린다”며 김 위원장 손목의 점에 대해선 “스텐스 수술을 하는 위치가 아닌 걸로 들었다. 바늘을 찌르는 위치가 다르다”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의 올해 공개활동 횟수는 이날 현재 총 17차례로, 예년 평균 50회 대비 66% 감소한 역대 최소 수준이다. 국정원 측은 “김 위원장이 군 전력과 내부전열 재정비에 집중한 데다 코로나19 상황이 겹치면서 공개활동을 대폭 축소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어디에 있다는 것 자체를 (국정원이) 보고 하지 않았다. 정보 출처에 대한 극도의 민감함이라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이번 국정원의 재확인으로 김 위원장의 이상설은 해소됐지만 북한의 침묵은 길어지고 있다. 지난해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남북관계 진전은 없었다.
문 대통령은 올초 남북관계 모색을 위해 남북이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실행하자며 대북 제안을 내놨다. 가장 시급한 협력 과제로 ‘코로나19 공동 방역’을 꼽은 데 이어 남북철도연결 실현, 이산가족 상봉과 실향민 방문 등을 제안했지만, 북한은 남한 패싱(무시) 기조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대북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제재 해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이른바 ‘자력갱생’에 집중하면서 미국 대선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며 미국 대선 전 북한은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 측 제안에 북한 반응은 아직 없다”면서도 “북측이 호응할 경우 조건과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