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인구의 절반이 넘는 54.7%는 장래에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근로를 원하는 고령자는 △2012년 42.6% △2014년 44.9% △2016년 43.7% △2018년 47.3% △2020년 51.9% △2022년 54.7%로 10년새 12.1%포인트 증가했다. 고령자가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생활비 보탬’을 꼽은 사람이 53.3%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이라는 답변은 37.3%가 나왔다. 수입을 목적으로 일한 고령자의 절반 가량은 고용 불안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 ‘고용 불안감을 느낀다’는 답변은 44.9%에 달해 2011년(41.2%)대비 3.7%포인트 늘었다.
일의 질적인 측면에서 보면 고령층의 일자리는 전문직보다는 단순노무가 많았다. 지난해 65세 이상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은 단순노무종사자가 36.6%로, 관리자·전문가(4.8%), 사무 종사자(3.4%)에 비해 크게 높았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 서비스 및 기타 분야 비중이 44.0%로 가장 높았다.
은퇴 연령층의 소득 분배지표는 2016년 이후 개선되고 있으나 빈곤율은 여전히 높았다. 2019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과 프랑스의 상대적 빈곤율은 각각 23.0%, 4.4%에 불과했다.
고령인구의 절반 가량은 국민연금을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고령자는 56.7%였으며, 이들은 노후 준비 방법으로 △국민연금 48.4% △예·적금 17.1% △직역연금 11.1% 등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초고령화 사회 진입이 임박한 상황에서 고령인구에 대한 정부의 정책 변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70~80대의 경우 기초연금을 인상해 빈곤율을 완화해야 할 것”이라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학식과 기술을 갖춘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스타트업 등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문재인 정부에서 5년간 공공일자리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정부 지원이 끝나면 일자리는 사라지는 식이었다”면서 “임시방편이 아닌, 지속 가능한 고령자 맞춤형 일자리 창출·발굴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