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정형외과 “급여 수술 적자…소외된 중증 환자 ‘심각’”

안치영 기자I 2025.03.26 16:30:59

상급종병에서 치료 못하는 중증 환자…“분류 잘못돼있어”
정형외과 수술 평균 수익률 ‘-52.1%’…치료재료 보상 없어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에 정형외과 의사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이번 조치로 중증 환자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받지 못하게 됐는데 중증 분류와 원가에 못 미치는 저수가 구조부터 타파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한승범 대한정형외과학회 이사장이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대한정형외과학회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안치영 기자)
대한정형외과학회는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진행한 ‘의정 갈등 사태로 인한 상급종합병원 정형외과의 위기’ 기자간담회에서 상급종합병원의 정형외과 진료 환경이 심각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철 순천향대서울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이번 구조 전환은 정형외과와 같은 다빈도 진료과를 구조적으로 배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형외과는 수술 수요가 많은데 중증 질환군 비중이 작다는 이유로 병원 내에서 인적·물적 지원이 우선순위서 뒤로 밀린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환자들은 스스로 경증 질환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치료 실패 후 상급병원에 전원 되는 경우가 많고 환자들은 여전히 대학병원에서의 치료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는 “척추, 인공관절, 골절 등 정형외과 주요 수술이 동네 의원이나 2차 병원에서만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은 환자의 선택권과 안전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형외과 분야가 필수의료임에도 불구, 건강보험에서 원가 이하의 수가를 지급해 수술하면 할수록 적자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한준 중앙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정형외과 수술은 재료비와 인건비 대비 평균 수익률 -52.1%로 수술 대부분이 적자 구조”라고 지적했다. 정형외과 수술은 다양한 수술 기구와 첨단 치료 재료를 사용하며, 의료진 다수가 협업하는 노동집약적 진료인데 이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형외과 분야는 건강보험에서 보상해주지 않는 치료재료가 많아 일회용 재료를 재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한준 교수는 “관절경 수술 재료는 일회용 비용(100~120만 원) 대비 수가 보상은 40만 원 수준으로 매우 낮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상급종합병원에서 중증 수술환자를 제대로 진료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정형외과 분야에 대해 원가 보전 수준의 수가가 책정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봉근 한양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정형외과도 필수 진료이며, 상급종합병원에서 정형외과 의료진 고용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봉근 교수는 이어 “중증분류체계 개선이 우선된 이후에 상종 구조조정이 시행되어야 하고 정형외과 수가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승범 대한정형외과학회 이사장은 “특히 척추 재수술 등이 중증 분류가 안 돼서 개원가에서는 수가가 낮고 수술이 어려워서 하지 않으려 하고 대학에서는 경증으로 분류돼 진료할 수 없다”면서 “정부 의료개혁의 큰 취지는 동감하지만, 국민 건강을 위해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할 수 없는 문제 해결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