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 감소에도 대학들이 모집인원을 늘릴 수 있었던 배경은 교육부 고시(미충원 인원 이월·추가모집 기준)에서 찾을 수 있다. 또 교육부가 인공지능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별 결손(제적·퇴학)인원을 활용, 한시적으로 학과 신설·정원 증원을 허용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들은 미충원 인원 2년 뒤에 전체 미충원 규모의 1% 범위 내에서 추가 선발할 수 있다”며 “여기에 신산업 분야에서 일부 정원 증원을 허용하면서 모집정원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문제는 지방대 미달사태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전국 4년제 대학들은 올해 정시모집에서 2만6129명, 추가모집에서도 1만6000명을 채우지 못했는데 주로 지방대를 중심으로 미달이 속출했다. 모집인원이 더 늘어나는 2023학년도에는 미달 사태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2023학년도 대입에서도 지방대를 중심으로 신입생을 뽑지 못해 추가모집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올해보다 더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교육계에선 이에 따라 부족한 학생을 놓고 대학간 뺏고 뺏기는 치킨게임이 본격 막을 올릴 것으로 본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 “지방대를 중심으로 문 닫는 대학이 속출하면 남은 학생들을 더 가져갈 수 있다는 치킨게임 심리가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지방대 관계자도 “학생 충원난을 겪는 대학들은 옆 대학이 문 닫기를 바라며 근근히 버티고 있다”고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