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직2구역과 서울시 악연은 박 전 시장 재직 시절부터 유래가 깊다. 서울시는 한양도성 인근 사직동 일대 역사·문화환경을 보전해야 한다며 2017년 사직2구역을 정비구역에서 직권해제했다. 사직2구역 조합은 법적 대응에 나섰다. 1~3심 모두 서울시가 정비구역 해제 근거로 삼은 조례 권한이 법률이 위임한 범위를 넘어선다며 조합 손을 들어줬다.
법정 다툼에서 패하자 서울시는 조합이 시(市)에 매각한 선교사 주택 부지를 문제 삼았다. 시는 이 집을 우수건축자산으로 지정, 존치를 추진했다. 서양 여성으론 처음으로 대한제국에 선교사로 온 조세핀 캠벨이 머물던 유서 깊은 집이라는 점에서다. 조합은 사업성 확보를 위해 선교사 주택 부지를 재매입하고 주택은 다른 곳으로 옮기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우수건축자산으로 지정된 게 정비구역 해제 무효 판결 확정 직후란 점에서 서울시가 ‘알박기’로 몽니를 부린다는 비판이 나왔다.
조합이 싸움을 이어가던 중 서울시 집행부가 바뀌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 서울시는 최근 선교사 주택 부지를 포함해 사직2구역 개발이 진행된 것이라고 확인하는 공문을 조합 측에 보냈다. 양측은 이 부지를 서울시가 조합에 되팔거나 아예 서울시가 도시관경정비사업 조합원으로 참여하는 방안 등을 논의 중이다. 서울시 측은 “기존 정비계획을 재확인한 것이며 구체적인 방안은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선교사 주택 문제가 해결되면 관리처분인가 등 다음 재개발 단계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조합 관계자는 “조합원들이 부단히 노력한 결실이 맺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재개발 과정에서 선교사 주택이 다른 곳으로 옮겨서라도 유지될 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조합 측은 “처음 사업시행인가를 받을 때는 당연히 철거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 우리는 아직 철거 외에는 다른 얘기가 없다”고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추후 논의가 더 진행이 되면 존치 여부도 함께 이야기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