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조원 사장 떠난 KAI…드리워진 명암

남궁민관 기자I 2019.08.01 17:11:00

조직기강 확립 통해 투명경영 확보 성과
친정부 인사로 방산업계 난제 해결에도 힘
美 APT 등 굵직한 수주전은 매번 고배
중장기 먹거리 확보 등 추진력 부재 남겨

지난달 26일 김조원 신임 민정수석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김조원 전 사장이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을 이끈 지난 2년 성과는 명과 암이 뚜렷하다.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과 감사원 사무총장을 맡은 경험을 토대로 조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며 ‘방산비리’에 얽힌 다양한 난제를 끊어냈다는 점은 분명한 성과로 꼽힌다. 반면 임기 중 굵직한 주요 완제기 수출에 실패하는 등 중장기 먹거리 발굴에 대한 사업 추진력은 아쉬운 대목으로 꼽힌다.

1일 업계에 따르면 KAI가 김조원 전 사장의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임명에 따라 후임 대표이사 사장 선임에 돌입한 가운데 항공우주 산업 관련 전문가를 선임해야한다는 대·내외적 목소리가 높다. 김 전 사장 체제 아래 2년 간 일부 뚜렷한 성과가 있었음에도, ‘비전문가’로서 사업적 측면에서 한계 역시 뚜렷히 드러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웃지 못할 해프닝도 있었다. 지난달 KAI 본사가 위치한 경남 사천에서 민주당 사천남해하동 지역 대의원 45명과 중앙정책대의원 14명이 연대 서명으로 이해찬 당 대표에게 KAI 경영진 교체를 촉구하는 정체불명의 탄원서가 나돌았다. 결과적으로 실체없는 괴문서로 밝혀졌지만, 일각에서 김 전 사장과 KAI 경영현황에 대한 불만 또는 불안감이 표출된 것이다.

김 전 사장의 성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KAI가 각종 ‘방산비리’ 논란으로 홍역을 앓던 2017년 10월 취임한 김 전 사장은 경영투명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꼽고 조직기강을 바로 잡는 작업을 중점 추진했다. 그 결과 KAI는 지난해 9월 국내 방산업계 최초로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

친정부 인사라는 점에서 KAI는 물론 방산업계 전체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정부와 거래가 대부분인 방산업계 특징상 관련 업계는 ‘방산비리’로 인한 낙인 때문에 지체상금 등 정부 정책 등에 대해 쉽사리 의견을 내기 어려웠지만, 김 전 사장이 중재자 역할을 확실히 수행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최진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업체들에 대해 회초리를 들던 정부의 모습은 사라졌다”며 “올해부터 방위사업청이 부과한 각종 배상금 및 패널티에 대해 ‘행정소송’ 외에도 ‘국가계약분쟁조정위원회 조정절차’, ‘중재법에 따른 중재절차’ 등 소송 없이도 패널티 조정·중재를 요청할 수 있게 제도가 바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성과 속에서도 김 전 사장은 뚜렷한 수주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사업 추진력에 대한 대·내외 의구심은 지워내지 못했다. KAI는 지난해 9월 미국 공군 차기 고등훈련기(APT) 사업 수주전 탈락에 이어 같은 해 12월 필리핀 수리온(KUH-1) 수주에서도 실패의 잔을 들었다. 올해 상반기 수주 규모는 7174억원으로, 올해 수주목표(2조6240억원)에 단 27.3% 달성에 그쳤다. 과제를 남기고 떠난 셈이다.

한 방산업계 관계자는 “김 전 사장이 관리에 집중하다보니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어야 할 신규 사업 확보에서 정작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현재 수주잔량은 18조원에 육박해 수치상 안정돼 보일지 몰라도, 면면을 살펴보면 2021년 이후 이어질 중장기 먹거리는 한국형 차세대전투기(KFX) 사업에 불과하다”고 했다.

김홍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높은 수익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수주잔고 내 4% 수준인 완제기 수주 증대가 요구된다”며 “이라크에 수출하고 있는 T-50의 수주 잔고가 2대에 불과하고 4분기에 종료될 전망이다. 스페인과 아르헨티나에서 수주 가능성을 확인해야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