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관세 탓에…美 1분기 증시, 2022년 이후 최악 성적

김윤지 기자I 2025.04.01 13:11:22

S&P500, 1Q 4%대↓…2년 반만에 최악
골드만삭스 “바닥 아직, 美증시 문제많아”
유럽 증시 양호, 亞증시는 엇갈려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 2025년 1분기 미국 증시가 2년 반 만에 최악의 시기를 보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지난 1분기 동안 4.6% 하락했다. 2022년 3분기 이후 최악의 성과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짚었다.

이에 대해 FT는 “시장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면서 “최근 여러 설문조사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도 급격히 냉각됐다”고 짚었다.

시장 참여자들은 내달 2일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무역 상대국의 관세 및 비관세 등 무역장벽을 고려한 상호관세를 내달 2일 발표하겠다고 일찌감치 예고했다.

미국 은행 제프리스의 제시 마크 주식시장 글로벌 책임자는 “우리 중 누구도 이런 소음을 예상하지 못했다”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세계 최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근 향후 12개월 내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을 기존 20%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샤론 벨 골드만삭스 선임 주식 투자전략가는 “바닥은 아직”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관세가 주식에 대한 위험 프리미엄을 높인다”면서 “미국 증시에는 성장 속도 둔화와 공공 부문 감축 등 다른 문제들도 있다”고 짚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미국 증시 랠리를 주도한 빅테크 주식은 지난 1분기 급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연초 이후 10% 넘게 하락했다.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인공지능(AI) 인프라에 대한 지출이 과도하다는 우려가 지수를 끌어내렸다.

AI 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는 1분기 동안 20% 가까이 하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실세인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테슬라도 36% 급락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10% 하락했다.

소비재 대면 기업과 기타 경기에 민감한 주식들도 급락했다. 나이키는 무역 전쟁 우려와 소비에 더욱 신중해진 소비자들로 인해 1분기 동안 16% 하락했다., 페덱스는 2025년 이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미국 산업 경제의 지속적인 약세와 불확실성”을 경고한 후 13% 하락했다.

유럽 주식은 지난 1분기 동안 2023~2024년과 달리 미국 증시 수익률을 넘어섰다. 해당 기간 런던의 FTSE100 지수와 유럽 STOXX 600 지수는 각각 5% 상승했다.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일본 토픽스 지수와 중국 CSI300 지수는 각각 4.5%, 1.2% 하락했지만 홍콩 항셍 지수와 한국 코스피 지수는 각각 15%, 3.4% 상승했다.

소시에테 제네랄의 샤를 드 부아세존 글로벌 주식 전략 책임자는 “투자자 심리를 짓누르는 것은 전반적인 불확실성”이라면서 “관세 발표는 변동성이 있으나 분명한 것은 전 세계 성장에 좋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속보]트럼프 관세에 中보복관세 …다우 4만선 깨졌다 - 국제유가, 中 보복 관세 우려·OPEC+ 증산 예고에 7%↓ - 美 3월 비농업고용 22.8만명↑…트럼프 관세 영향은 아직(종합)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