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두산에 '3년 여유시간' 준다

장순원 기자I 2020.05.14 16:39:33

이르면 이달 정상화방안…3년 장기플랜 짠다
돈되면 다 판다…두타·솔루스 등이 매각테이블
인프라코어·밥캣 등은 시장상황 봐가며 판단

[이데일리 장순원 김영수 기자] 채권단이 두산그룹에 오는 2023년까지 3년의 시간을 주기로 했다. 통상 1년 내에 구조조정을 마치라고 압박하던 관행과는 차이가 있다. 두산그룹에게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산 매각과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기업 정상화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한 셈이다. 자칫 서둘러 매각에 나설 경우 헐값 매각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이 기간 두산중공업(034020)의 자금이 부족하면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이달 중 경영정상화 방안…3년 장기플랜 짠다

14일 채권단과 두산그룹 측에 따르면 두산그룹 지주회사인 (주)두산은 이사회를 열어 두산그룹의 구조조정과 자금조달 계획을 담은 자구안을 논의했다. 공식적으로는 소액주주의 중간배당 의결을 위해 모였으나, 자구안과 관련해 앞으로 대응방안을 주로 토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지금까지 두산그룹에 약 2조4000억원의 신규 유동성을 지원했다. 두산그룹은 자산매각 등을 통해 최소 3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마련하고 사재출연과 인력 구조조정을 담은 자구안을 채권단에 제출했다. 두산그룹을 실사 중인 삼일회계법인은 이르면 다음 주 결과를 채권단에 통보할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그룹은 실사 결과를 토대로 채권단과 협의한 뒤 이르면 이달 중 경영정상화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채권단은 두산그룹의 경영정상화을 놓고 3년 이상의 장기 스케줄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1년 이내 끝내는 다른 구조조정과 달리 기간을 넉넉하게 끌고 가겠다는 것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 시장 상황이 불안정한 데다 시간에 쫓기면 알짜 자산을 헐값에 매각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제값을 받겠다는 뜻이다.

또 두산중공업의 미래 먹거리로 제시한 가스터빈·신재생에너지 사업부가 자리 잡으려면 적어도 2~3년 시간이 필요하다는 판단도 깔렸다.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두산 구조조정은 부채와 자산을 동시에 줄여서 금융비용 부담을 낮추고 지속 가능한 경영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구조조정의 목표”라며 “이 같은 목표를 바탕에 두고 경영정상화 방안을 확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산 역시 비핵심사업부부터 돈 되는 건 다 팔아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매수자를 찾고 있는 두산솔루스(336370)를 포함해 ㈜두산의 알짜 사업부인 산업차량BG(지게차 Business Group)·모트롤BG(유압기기)·전자BG(동박), 두산중공업의 100% 자회사인 두산메카텍 등도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 그룹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두산인프라코어(042670)나 밥캣이나 미래 먹거리인 두산퓨얼셀(336260) 등은 당장은 그룹 울타리에 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들 계열사도 시장 여건을 봐가며 매각이나 지배구조 개편 등의 추가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유동성 확보 자산매각이 관건‥실패땐 대규모 자금 수혈 불가피

채권단은 두산에 대한 추가 지원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두산이 완전히 정상화할 때까지 유동성 확보 상황을 봐가며 브릿지론 형태의 자금지원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두산그룹이 올해 갚아야 할 차입금은 4조2000억원 규모다. 두산은 지금까지 채권단에서 2조4000억원을 수혈받았다. 시중은행에서 빌린 차입금 약 8000억원은 만기연장이 될 가능성이 커 매각 추진 중인 두산솔루스나 두산타워 등이 순조롭게 팔리면 한숨 돌릴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시장 상황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변수로 꼽고 있다. 계획대로 자산매각이 안 된다면 채권단이 다시 또 대규모 자금을 추가 수혈해야 할 가능성도 크다고 보고 있다. 현재 두산이 매각계약을 체결한 것은 두산타워 정도다. 이를 통해 손에 쥐는 현찰은 1000억~2000억원에 불과하다. 관건은 몸값 8000억원 안팎으로 평가받는 두산솔루스 매각이다. 이미 사모펀드(PEF)에 매각하려다 가격차이를 좁히지 못해 협상이 틀어지며 공개매각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잠재 인수자인 국내 대기업들도 시장 상황이 불확실해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경기가 더 고꾸라진다면 인수자를 찾기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금융권에서는 연내 두산솔루스 등 매각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채권단에서 최대 1조원 안팎의 추가 자금지원이 필요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재호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위원은 “두산이 채권단에서 지원받은 한도대출과 보유자금 등으로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 등은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자구안이 확정되고 자산매각 등을 통해 유동성이 계획대로 확보되느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사진=뉴스1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