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중 29%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고, 부모가 있는 경우 44%가 월평균 73만 원의 용돈을 주고 있었다. 49%는 부모가 편찮아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 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보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의 평균 자녀는 2명이었고 이 중 43%는 자녀에게 월평균 경제적 도움으로 88만 원을 주고 있었다.
응답자의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을 하며 월평균 164만 원을 지출했다.
그러나 이들 세대는 정작 자신의 노후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89%가 본인이라고 답했다. 이들 중 62%만 현재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62%였는데 그 방법으로 80%가 국민연금, 56%가 예적금 및 저축성 보험, 34%가 사적연금, 31%가 주식 및 채권이었다. 81%는 퇴직 후 연금을 받기 전까지 소득이 없는 기간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다.
60년대생의 70%는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을 하고 있었는데 52%는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상태였다. 평균 퇴직 나이는 54.1세였는데 퇴직 연령이 점점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 후 평균 2.3개 일자리를 가졌고 퇴직 후 일하는 이유로 37%는 아직 더 일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해서, 29%는 가계의 경제적 필요, 17%는 일하는 삶의 보람을 꼽았다.
90%는 건강이 허락하면 계속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현재 일자리를 잃을까 봐 불안감을 가진 비율은 46%였고 이들이 예상하는 향후 근속 기간은 평균 7.5년이었다. 적정 정년은 평균 65.4세로 답했고 은퇴 연령은 67.3세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노년에 돌봄이 필요할 때 원하는 곳으로 “살고 있던 집”(5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58%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마지막 순간 임종을 원하는 곳으로 46%가 “내가 사는 집”을 택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의 비율은 30%로 낮았다.
|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 장애인, 환자에게 국가와 사회가 제공하는 돌봄서비스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각각 98%가 “우리 사회에서 돌봄은 반드시 필요하다”, “앞으로 돌봄 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이다”고 생각했고, 86%는 “노인, 장애인, 환자에게 국가와 사회가 제공하는 돌봄서비스를 지금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1960년대생들은 신체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기존 노인 세대와 다르며 돌봄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인다”며 “앞으로 10년이 지나면 이들은 가장 큰 노인 집단이 되고 돌봄 수요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