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 관계자는 “SH와 LH가 사업성과 사업 추진 여건 등을 감안해 일부 지역과는 이미 접촉을 한 것으로 안다”면서 “1차적으로는 단일 소유의 대형 공장부지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서울에서 준공업지역이 가장 많은 영등포구에선 최소 1곳 이상 시범사업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서울 내 준공업지역은 서울 전체 면적의 3.3% 수준인 19.98㎢인데 영등포구가 5.0㎢로 가장 넓다. 영등포구 전체 면적의 20.64%가 준공업지역이다.
영등포구에선 순환정비사업 공모 대상인 3000㎡(약 900평) 이상 공장부지(부지 내 공장비율이 50% 이상)에 충족하는 단일 공장 사업장으로 양평동4가에 있는 롯데제과 영등포공장이 있다. 면적은 1만1000㎡ 수준이다. 다만 롯데제과 측은 “본사와 가장 가까운 핵심 공장으로 이전을 검토해본 적 없는 걸로 안다”고 했다.
문래동5가에 위치한 신한전기공업과 유니온팜 공장 일대도 각각 요건을 충족한다. 이와 함께 부동산업계에선 양평2동 쪽도 주목하고 있다. 당산동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목동교 양평2동 방면이나 선유도역과 한신아파트 사이에 세차장이나 자동차정비공장 등 정비할 만한 공간이 나온다”면서 “다만 사업주들이 의견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영등포구에 이어 준공업지역이 넓게 분포한 곳은 구로구 4.3㎢, 금천구 4.1㎢, 성동구 2.0㎢ 등이다. 구로의 경우 가장 큰 공장부지였던 CJ제일제당이 이미 매각됐고, 주거단지 등의 용도로 이미 개발된 지역이 많아 개발가용지는 많지 않은 편으로 알려졌다.
고척동 C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구로동의 기계공구상가에서 재개발 추진위를 꾸려서 상가를 헐고 아파트를 짓는 방안을 모색 중인 걸로 아는데, 그쪽에서 신청할지 두고 볼 일”이라며 “인근이 모두 아파트단지인데 이미 공구상가 철거를 예상하고 집값이 오르고 있다”고 귀띔했다.
성동구에선 구청이 나서서 시범사업 요건에 맞는 부지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구청 관계자는 “성수역 인근으로 준공업지역이 밀집해 있는데 지역이 넓은 편이라 우리도 하나씩 따져보는 중”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준공업지역을 통한 주택공급에 대해서 우선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이미 하이트맥주 영등포공장을 홍천으로 옮긴 뒤 2642가구의 영등포 푸르지오 아파트를 건설하고, SK케미칼 수원공장을 충북 진천·울산공장으로 이전하고 3576가구의 수원 SK스카이뷰를 건설해 성공한 사례도 있다.
최현일 한국열린사이버대학 부동산학과 교수는 “준공업지역에 오피스텔과 업무용 단지가 아닌 아파트 건설을 허용해주는 것은토지주들에게도 매력적”이라며 “정부는 용적률을 높여주는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급까지는 시간차 …집값 자극 우려도
다만 실제 공급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대부분의 준공업지역에서 영세사업자가 밀집해 있는 상황에서 서로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조합이 설립돼 있는 기존 정비구역도 공모에 참여할 수 있지만 이들 대다수는 공장 비율 50%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1차적으로는 단일 소유의 대형 공장부지가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영세 제조업들이 모여있는 지역들을 배제한 것은 아니지만 단일화된 의견을 수렴하는게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단기적으로 주변 집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이미 지난해 5·6대책에서 도심내 준공업지역을 재정비해 주택공급 기반을 확대하겠다는 발표를 한 이후 준공업지역 인근 집값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영등포구 당산동4가 당산현대3차 아파트(전용 73㎡)의 경우 지난해초 8억원 후반에서 거래되다가 6월 9억원 중반대로 오른뒤 지난달 7일 10억6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 영등포구 양평동 한신아파트(전용 84㎡)는 지난해 4월 2일 8억8000만원에 거래됐지만 6월 들어 1억원 가까이 올랐다. 지난해 12월 9일에는 11억2000만원으로 신고가를 경신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저층 공장지대가 고층으로 개발되면 주변 지역에서는 호재로 반영되고 시세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장기적으로는 공급량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단기간에 변동성을 흡수할 수 있는 대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