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뉴스 이용자 편의성 확대 차원에서 원치 않는 뉴스에 대해 ‘숨김 처리’하는 기능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네이버와 카카오는 해당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설명하는’ 요소들에 대한 기술도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고리즘 사회화 필요성 공감… 당장 법제화는 회의적 시각 많아
2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포털 알고리즘에 대한 전문가 의견 청취 및 포털 알고리즘 개선 방안 논의’ 공청회에서는 국회에 발의돼 있는 알고리즘 관련 법안들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인공지능(AI) 알고리즘도 사회적인 신뢰를 얻어야 하고 △그러러면 소스코드를 제외한 부분의 일부 공개와 검증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당장 법으로 제도화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국회에 제출된 이원욱 의원 법안(정보통신망법 개정안)·김남국 의원 법안(신문법 개정안)이 당장 통과될 가능성은 적지만, 대선을 앞두고 포털 길들이기에 나서려는 여야 정치권의 속내가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따라 입법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원치 않는 매체 숨기고, 알고리즘 ‘설명가능’ 기능 추가 노력중
최재호 네이버 에어스 담당이사는 “현재 네이버는 언론사 편집판과 AI추천에 의한 마이뉴스를 제공 중인데 마이뉴스는 트래픽의 30%에 불과하다”면서도 “뉴스편집알고리즘에 대해선 2018년 컴퓨터공학, 언론학과 교수님들을 모시고 소스코드 레벨까지 검증한 적이 있다. 다만 (뉴스 알고리즘의) 일반 대중 공개는 우려되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가짜뉴스 확산, 기사 어뷰징 같은 폐해를 걱정하는 것이다.
특히 그는 “최신 논문이나 뉴스에 대한 새 기능이나 원치 않는 매체를 숨기는 기능을 추가하려 한다”면서, 뉴스 등 추천 알고리즘인 에어스의 변화를 언급했다.
한편 이날 최재호 네이버 이사와 카카오 김희정 플랫폼사업실장은 사회적 합의가 있다면 알고리즘 검증을 받을 용의가 있다고 밝혔으며, AI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명 가능한’ 기능을 넣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