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전략의 핵심은 산업 현장의 기술개발(Reseach&Development)과 혁신(Innovation) 과정에 AI를 적용해 시간·비용 절감과 성과 극대화를 도모하자는 것이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2명이 AI를 활용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신약 개발에 적용하는 기술 개발로 올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R&DI 분야의 AI 활용을 촉진하겠다는 포부다.
산업부는 AI+ 기술혁신(R&DI) 추진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600개 관련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추진하고 2032년 이후엔 5조원에 이르는 산업부 신규 R&D 과제의 100%를 AI 적용 R&DI 과제에 투입한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R&D 과제 평가 때 2인 이상 AI 전문가를 참여시켜 별도 기준에 따라 평가를 받도록 하는 등 정부 R&D 제도 자체를 AI 도입에 맞춰 정비한다.
또 올 11월부터 특허 1억1000만건, 논문 2억2000만건 등 민간 보유 데이터를 대형 언어모델(LLM)로 학습시켜 내년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인재 정보 탐색 기능 추가(2026년~)와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업(2027년~)으로 연계하는 161억원 규모 프로젝트에 정부 예산 100억원을 투입한다. 기업·연구자의 행정업무를 돕는 AI 어시스턴트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이와 맞물려 산업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도 추진한다. 기업이 좀 더 원활히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지원한다. 또 개별 기업의 영업비밀을 보호하면서도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디지털제품여권(DPP, Digital Product Passport) 제도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스페이스’ 개념의 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내달 1일까지 이 사업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 사업자를 찾기 위한 입찰 공고를 진행 중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AI는 기술 혁신의 핵심 도구이자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게임 체인저”라며 “정부도 AI를 활용한 우리 산업 체질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