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AK플라자는 큐텐의 자회사 인터파크커머스에 자사의 인터넷 쇼핑몰 AK몰을 포함한 전자상거래 사업 부문을 매각했다. 양도가액은 5억원으로, 양도 대상에는 전자상거래 사업부문에 대한 자산 및 부채, 영업에 관한 모든 권리가 포함된다. 회사는 양도 목적에 대해 “재무구조 개선 및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라고 밝혔다.
◇ 매출 3억 늘었는데…EBITDA 손실 400% 증가
AK플라자의 최근 재무 상태는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AK플라자의 지난해 매출은 2476억원으로 전년(2473억원)에 비해 3억 원가량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손실은 2022년 26억원에서 지난해 130억원으로 400% 증가했다. EBITDA는 세금과 이자, 감가상각비를 차감하기 전 영업이익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다.
AK플라자는 2020년부터 4년째 당기순손실을 내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20년(-302억원) △2021년(-292억원) △2022년(-314억원) △2023년(-440억원)으로 손실 규모도 커졌다. 지난 2022년 4000%를 웃돌았던 부채비율은 한 해 만에 703.1%로 내리는 데 성공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가면 재무건전성이 악화했다고 판단한다.
AK플라자는 현재 상환 부담도 큰 상황이다. 지난해 AK플라자의 순차입금 규모는 249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까지는 391억원었던 순차입금은 2021년 2000억원을 넘어서더니 2022년(2010억원) 2023년(2490억원)까지 늘어났다.
AK플라자의 재무 악화는 다른 백화점들과 비교해봤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 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현대백화점 등 국내 백화점 ‘빅3’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비록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롯데백화점은 3조3033억원, 신세계백화점은 2조5570억원, 현대백화점은 2조4026억원 등 매출을 내며 외형 성장에 성공했다.
◇ AK홀딩스 자금 수혈에도 수익악화 지속
업계에선 AK플라자가 지난 2021년부터 명품 매출에 의존하지 않는 전략을 내세우면서부터 경쟁력에서 밀렸다고 분석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유행으로 대부분 백화점들의 명품 매출이 크게 늘었지만 AK플라자는 그렇지 못했다.
AK플라자를 살리기 위한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모회사 AK홀딩스와 계열사 애경자산관리는 AK플라자에 자금 수혈을 이어갔다. AK홀딩스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AK플라자에 200억원을 빌려주고, 애경자산관리와 함께 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해 자금을 수혈하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자 한국기업평가(한기평)는 AK플라자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한기평은 AK플라자의 저조한 영업실적이 지속되고 있고 중단기간 실적 개선 여력이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한기평은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과중한 재무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며 “중단기간 실적개선 여력이 크지 않은 점, 비교적 작은 자본규모로 재무구조 변동성이 높은 점 등을 감안하면 향후 미흡한 재무안전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