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미국과 유럽의 은행 불안이 역내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하방 리스크로는 긴축적인 금융여건, 공급망 교란, 러시아·우크라이나 충돌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기대 고정, 금융안정 유지 등을 고려한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며 “개방·자유·공정·투명성 등의 원칙에 기반한 다자간 무역시스템 확립과 한층 강화된 연내경제통합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회원국들은 역내 금융협력 강화도 공언했다. 지역금융협정(RFA) 미래방향,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 역내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등을 통한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RFA 미래방향과 관련해선 ‘신속금융대출제도’ 도입 논의와 납입자본금 방식을 포함한 자본조달구조 연구에 합의했다. 신속금융대출제도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신속금융제도와 유사한 대출제도로 팬데믹, 자연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회원국을 지원하는 제도다.
CMIM에 대해선 운영지침 개정, 대출 가산금리 구조 논의 상황을 확인하는 한편 미래방향을 제2차 정기점검과 관련 이슈에 포함해 검토할 예정이다. 운영지침 개정으로 제3국 역내통화에 의한 지원이 가능해지면서 관련 제도적 절차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며, CMIM 대출금리 상 마진구조 논의를 지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회의에서 CMIM 실효성 강화를 위해 자본조달구조를 약정기반 시스템에서 펀드시스템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연구를 제안하기도 했다.
향후 AMRO가 역내 거시경제금융 회복과 안정에 기여할 것이란 기대감도 나왔다. 향후 역내 지식 허브 구축, 구조적 이슈에 대한 회원국 대응 지원 등이 요청됐다.
한편 이듬해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는 조지아 트리빌시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한국과 라오스가 공동의장국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