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영끌족' 빚 41% 폭증…가구당 부채 9000만원 첫 돌파

조용석 기자I 2022.12.01 19:27:08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재난지원금 빠지자 소득불평등 심화
지니계수 5년 만에 다시 '악화'
가구 평균 자산 5억4772만원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9% ↑

[세종=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꾸준히 개선되던 소득분배지표가 재난지원금 및 저소득층 소비쿠폰 등 정부 지원이 사라지면서 5년 만에 악화됐다. 국내 가구 평균부채는 사상 처음 9000만원을 넘어섰고, 무리하게 대출을 끼고 집을 사거나 투자한 이른바 ‘영끌족’으로 인해 29세 이하의 부채는 전년대비 40% 이상 늘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016년 이후 5년 만에 지니계수·5분위 배율 ‘악화’

1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2021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는 0.333으로 전년 대비 0.002포인트 상승했다. 지니계수는 0에 수렴할수록 평등하고, 1에 가까워질수록 불평등이 심화한다는 의미다. 2016년 전년 대비 0.003포인트 증가 이후 계속 0에 가까워지던 지니계수는 5년 만에 다시 악화됐다.

2021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1분위(소득 하위 20%)가 전년 대비 4.5% 증가할 때 5분위(소득 하위 20%)는 전년 대비 6.5% 늘었다. 1분위 증가율은 전체 소득분위 중 가장 낮았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이란 가구원수 차이를 고려해 실제로 온전히 쓸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상위 20%를 하위 20%로 나눈 5분위 배율은 5.96배로 전년대비 0.11배 포인트 증가했다. 이 역시 2016년 전년 대비 0.08배 증가한 이후 5년 만에 다시 악화했다. 5분위 배율은 숫자가 커질수록 분배의 악화를 의미한다.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은 저소득층에 재난지원금이나 저소득층 쿠폰 등 정부 지원 성격의 공적이전소득이 감소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1분위 공적이전소득은 전년대비 1.5% 감소했다. 이는 전년 대비 무려 23.3% 증가했던 지난해 조사 때와는 정반대의 상황이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2020년에는 코로나 지원금 등이 제공되면서 저소득층의 소득을 받친 측면이 있었다”며 “2021년에는 소상공인이나 소기업 중심으로 지원 대상이 변경되고, 저소득층에 대한 추가 지원이 덜해지면서 1분위의 소득 증가율이 5분위보다 낮았다”고 분석했다.

향후 조사에서는 불평등이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전년대비 12.4% 늘어난 1분위 근로소득이 취약계층 공공일자리가 축소되는 내년에는 줄어들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부채 규모 첫 9천만 넘어…29세 이하 부채 41.2%↑

부동산 및 전세가격 상승으로 인해 자산도 증가했다.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 4772만원으로 전년 대비 9.0% 증가했다. 전년도 자산 증가율(12.8%)에는 미치는 못했으나 역대 2번째다. 실물자산은 전년 대비 9.5% 증가하면서 금융자산 증가율(7.1%)을 앞섰다.

부채도 증가해 사상 처음 9000만원을 넘어섰다. 가구당 부채는 전년대비 4.2% 증가한 9170만원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담보부채가 전년 대비 5.0% 증가했고, 신용부채 및 금융부채가 각각 전년보다 4.4% 늘었다. 다만 부동산 및 주식투자 열기가 뜨겁던 전년 증가율(6.6%)은 하회했다.

연령별로는 가구주가 29세 이하의 전년 대비 부채증가율이 41.2%로 가장 높았다. 전년도 증가율 2.1%와 비교하면 20배 넘게 급등한 것이다. 평균 부채증가율(4.2%) 대비로도 10배다. 29세 이하 연령층은 15세 이상 경제활동 가능한 인구부터가 집계대상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9세 이하에서 금융부채를 얻어 임대보조금을 끼고 집을 산 경우가 발견됐다”며 “금융부채도 증가하고 임대보조금에서도 증가율이 발생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20대에서 부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29세 이하는 가구주 비율은 전체의 2.9%로 표본수가 적어 변동성이 큰 점도 감안해야 한다.

다만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은 4.7%로 전년(5.4%)대비 0.7%포인트 감소했다. ‘기한 내 갚을 수 있다’는 응답은 전년 보다 2.1% 증가한 77.7%였다. 또 가구의 35.1%는 1년 후 부채가 감소할 것으로 응답했고,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가구는 9.4%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