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서 중고차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고차 시장의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두고 현대차 등 대기업 진출 제한보다 완성차 업계와 매매업자들의 상생협력으로 가닥을 잡자 현대차는 중기부에 상생방안을 제출했다.
국정감사에서 나타난 현대차의 상생방안은 해외 수입차 브랜드가 중고차를 판매하고 있는 형태인 인증 중고차와 오픈 플랫폼 구축 등 두 가지로 압축된다.
현재 해외 수입차는 자사의 차량 가운데 신차 보증 기간 또는 10만km 이내 차량에 대해 ‘인증 중고차’라는 이름을 붙여 판매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기부가 중고차 시장에 대기업 진출을 허용할 경우 현대차가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086280)를 통해 인증 중고차 판매에 뛰어드는 방안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 2001년부터 중고차 매입 서비스인 오토벨을 운영하고 있다. 오토벨에서 매입한 중고차는 이후 중고차 매매업체 2000여개가 참여하는 오프라인 경매장을 통해 매매업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가 중고차 시장에 뛰어들 경우 현대글로비스에서 운영 중인 중고차 판매를 일반 고객들에게도 할 것이란 예측이다.
다만 상생안에 따라 중고차 판매는 현대·기아의 보증기간에 해당하는 차량으로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많다. 현대·기아차는 신차 출고 이후 2~4년간(4만~8만㎞) 차체 및 일반부품에 대해 보증하고, 엔진 및 동력전달 부품은 5년간 보증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를 통해 매입한 중고차 중 신차 보증기간이 아직 끝나지 않은 2~4년간 차량을 판매하는 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은 현대글로비스라는 이미 중고차 판매 플랫폼이 있어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오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판매 가능한 연식은 중고차 매매업자들과 상의를 통해 더 줄어들 여지도 있다”고 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중기부에 상생방안으로 중고차 시장 정보 투명화를 위한 ‘오픈 플랫폼’을 제안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중고차 매매업자들은 자신들이 판매한 중고차에 대해 구입 후 1년간 애프터서비스(A/S)를 제공해야 한다. 문제는 매매업자들이 기존 차량의 수리 이력을 잘 모른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수리 견적 산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현대차가 제시하는 오픈 플랫폼은 현대·기아차가 운영 중인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현대차 블루핸즈, 기아차 오토큐 등의 수리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현대·기아차가 국내 완성차 신차 시장의 70%가량을 차지하는 만큼 수리 이력이 공유되면 중고차 매매업자들에게도 가격 산정과 A/S 서비스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국감장에서 “중고차 매매업자들이 판매 후에도 A/S를 위한 비용이 상당한 것으로 안다”며 “소비자입장에서도 오픈 플랫폼을 통해 품질 평가나 투명성도 올라가 만족도가 올라갈 것으로 생각된다. 이 지점에서 현대차와 중고차 매매업자들의 상생의 고리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