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 내 관계 만족도의 경우 SK 이노베이션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카카오페이, 3위는 ASML 코리아, 4위는 한국피앤지, 5위는 GE코리아, 6위는 SK에너지, 7위는 SK텔레콤, 8위는 이스트소프트, 9위는 아마존, 10위는 부산교통공사였다. 직장내 표현의 자유(관계 만족도) 10위 중 3개사는 SK관계사였다.
동료 지원은 높은 점수, 상사 지원은 낮은 점수
대한민국 직장인의 직장 내 관계 만족도는 평균 55점으로 측정됐다.
동료의 지원(회사 생활을 하며 동료에게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느끼는 정도)은 6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상사의 지원(업무를 완수하는 데 상사가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고 느끼는 정도)은 47점으로 가장 점수가 낮았다. 표현의 자유(나의 의견을 회사 사람들에게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느끼는 정도)는 55점이었다.
직장 내 관계 만족도와 상관 관계가 큰 요인(상사의 지원)에 대해 직장인은 불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상관 관계가 상대적으로 덜한 요인(동료의 지원)은 비교적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
연차 높아질수록 동료 지원 낮아지지만 표현의 자유를 얻어
연차 1년 미만의 직장인은 동료의 지원 점수가 68점으로 가장 높았다가 연차 10년 이상으로 갈수록 60점으로 점차 떨어졌다.
반면에 표현의 자유 점수는 세 가지 요인 중 가장 낮은 점수인 53점이었다가 연차가 높아질수록 높아져 10년 차 이상 직장인에게 57점을 받았다.
상사의 지원은 1년 미만일 때에 가장 높은 58점이었다가 연차가 쌓일수록 하락했다. 10년 차 이상에서 소폭 상승했으나 다른 요인에 비해 가장 낮은 점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