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는 시민 관람·체험 행사 위주로 시화호 30주년을 기념했고 정부는 첨단산업단지·레지던스·해양관광도시 조성 비전을 소개한 것이다. 시화호 수질과 주변 환경 변화, 생물 다양성 현황, 환경보전 대책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지자체들은 “시화호 수질관리, 환경보전 업무는 수자원공사가 맡고 있다. 필요 사업은 같이 협의해 추진한다”며 별도로 시화호 생태 복원사업을 하는 것이 없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는 시화호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조사 결과 수질이 서해 연안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민단체 조사에서는 시화호 바닥 흙이 1m 깊이로 썩어 있는 것이 확인돼 환경보전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시화호는 기존 갯벌 주변 바다를 1994년 방조제로 막아 인공호수를 만든 것으로 기존 바다 COD가 4㎎/ℓ였다가 시화호가 된 뒤 17.4㎎/ℓ로 혼탁해졌다. COD가 높을수록 오염도가 심하다. 이후 조력발전으로 다시 바다로 바뀐 시화호 COD는 지난해 2.6㎎/ℓ로 줄어든 것으로 해양수산부 용역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시민단체는 시화호 중심부 오염이 정화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시흥환경연대 관계자는 “최근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시화호 바닥을 조사한 결과 1m 깊이로 흙이 시커멓게 썩어 있는 모습이 관찰됐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시화호 주변을 개발하려고 하는데 개발하면 시화호 생태오염은 더 심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안산·화성에서 하천에 유입된 토사가 시화호로 들어와 수심이 낮아지고 생태계가 파괴된다”며 “개발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화호지킴이 최종인씨는 “시화호 조성 전에 100여종의 조류가 있었는데 현재는 20종도 안된다”며 “개발사업으로 환경이 악화됐다. 정부·지자체는 시민을 속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자원공사는 “지자체 협의를 통해 시화호 환경 조사 등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