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회계기준원이 개최한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정을 위한 정책 제언 포럼’에서 이같은 의견이 나왔다.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지난달 말 지속가능성 공시를 위한 최초의 기준서인 국제회계기준(IFRS) S1 일반 공시 원칙과 IFRS S2 기후 관련 공시를 공개초안 형태로 발표했고, 올해 연말 최종안을 내놓기로 했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E·S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다. 국내 ESG 공시 대상 의무화는 2030년에는 전체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이날 포럼에 참석한 천성현 포스코 기업시민실장은 “ESG 관련한 지침과 여러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 혼란스러운 부분을 넘어 어떤것을 따라야 하는지 고민이 있다. 어떤 기준을 따라 어떤 부분을 공개할지에 대한 고민 크다”고 설명했다. 이에 KSSB위원회를 통해 글로벌 ESG 기준과 국내 ESG 기준 등이 통합되면 이에 따른 혼란은 해소될 것으로 봤다.
다만 기업입장에서 실무적으로 ESG 공시 의무화시 애로사항은 있다는 설명이다. 천 실장은 “ESG 기준을 설정할때 국내 기업의 특성, 대기업이더라도 중소·중견기업과 협업하는 상황, 해외 사업장 운영 수준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현실 적용한 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산업 발전 단계상 지표를 정량화하기 어렵거나 체계가 갖춰져야 데이터를 만들 수 있는 지표도 있어 기업입장에서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도 “중견기업 중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하지 못하는 곳도 있다”며 “ESG 경영 추진 자체가 중견·중소기업은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최소한의 인원과 재정으로 운영하고 있어 ESG 공시 기준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간소화한, 차별화된 기준을 마련해 달라는 의견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김광일 금융위원회 공정시장과장은 “ESG가 시대적 가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미 유럽연합(EU)는 ESG 공시를 의무화했다”며 “ESG 공시나 평가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있다. 충분히 의견을 수렴해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