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 부문에서는 돼지 2만 4000두와 닭 5만 2000수도 산불로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도 △시설하우스 290동 △부대시설 958동 △농기계 2639대 △축사 71동 △유통·가공시설 7개소 등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영농에 차질이 없도록 부족한 농기계, 비료·농약, 농기구, 종자·종묘 등 지역별·품목별 필요물량을 사전에 준비해 농업인의 신속한 영농 재개를 지원한다. 시·군 농기계임대사업소와 지역농협 농기계은행을 통해 피해 농가에 무상으로 임대한다.
농업기술센터와 지역농협 농기계은행에 농작업 대행반을 편성해 고령농 등 취약계층에게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전소되지 않은 농기계 수리를 위한 수리봉사반 14개팀을 편성해 순회 점검 및 무상 수리도 진행한다.
축산농가에는 사료구매자금 1100억원을 피해지역에 우선 배정하고, 농축협에서 사료를 농가 당 최대 240포(20kg)씩 무상으로 공급한다. 붕괴 위험 축사시설 긴급 철거를 위한 중장비 임차료 지원 및 축사 복구를 위한 축사시설현대화 자금도 지원한다.
농업인의 경영 및 생활 안정을 지원한다. 재해보험금이 신속히 지급될 수 있도록 손해평가인력 596명을 현장에 배치하고,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한다.
농축산경영자금의 상환을 연기하고 최대 2년간 이자를 면제한다. 재해대책경영자금과 비닐하우스·과수원 등 농업시설 복구에 필요한 자금도 신속히 지원한다. 이와 별도로 농협은 피해 조합원에게 무이자자금 2000억원과 긴급생활안정자금을 세대 당 최대 3000만원씩 지원한다.
산불로 인한 농산물 수급불안이 최소화되도록 주요 작물에 대한 피해 상황 및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할 계획이다. 현재 정식이 진행 중인 봄배추와 생육 중인 마늘·사과에 대해서는 품목별 생육관리협의체를 즉시 구성해 수확기까지 생육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현장 기술지원, 병충해 방재용 약제·영양제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이재민 구호용 정부 양곡을 무상 공급하고, 왕진버스·재능나눔, 영농도우미 등 각종 농촌 복지사업도 지원하며,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연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도 활용해 피해농가를 지원할 계획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산불 피해농가의 조속한 영농재개와 일상회복을 위해 지자체 피해조사를 바탕으로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은 총 동원해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묘 “기존의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방안도 추가적으로 검토하여 행안부 등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