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9일 박정호 SKT 사장, 구현모 KT 사장, 황현식 LGU+ 사장과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19로 침체된 국가 경제에 활력을 일으키기 위한 투자 및 AI 융합서비스 발굴 계획을 점검했다.
정부와 통신사는 5G 인프라 조기 구축과 인공지능(AI) 및 융합서비스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네트워크정책실장, 통신정책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등이 배석했다.
내년까지 유무선 25조원 투자 차질 없이
통신 3사는 5세대(5G) 이동통신 인프라 조기 구축에 합의하면서 약 25조원(‘20~’22년, 24.5~25.7조원, SKB포함)의 유·무선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하기로 했다.
5G 상용화 3년 차인 올해 5G 망 구축에 총력을 다하기로 했고, 특히 85개시 주요 행정동, 교통망 (지하철·KTX·SRT 등), 4천여개 다중이용시설 (대규모점포·대학·의료기관)과 주거지역 (대규모 단지) 등 국민 일상 반경에 5G를 집중구축해 체감 품질을 높이기로 했다.
|
다만, 삼성전자 등 장비 업계의 관심사인 28㎓ 대역 5G 구축은 ‘확충’과 ‘병행’이라는 말을 써서, 당장 집중하지는 않을 것임을 에둘러 시사했다.
정부는 ‘차별화된 5G 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28㎓ 대역 5G망을 확충하고 단독모드(SA) 전환도 병행하기로 뜻을 모았다’고만 밝혔다.
정부역시 통신사의 네트워크 투자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5G 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는 한편, 품질평가를 강화해 5G 투자를 유도해 가기로 했다.
정부, 빅데이터 플랫폼·AI 반도체·AI 연구소 언급
과기정통부는 KT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 통신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성을 높이자고 제안했다. ‘데이터 댐’에 축적된 다양한 데이터와 각 통신사가 보유한 데이터 간 결합과 연계 확대를 제안한 것이다.
SKT에는 국내 최초로 개발한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에 대해 정부도 국내 데이터센터 등에 인공지능 반도체의 도입·실증을 추진하는 등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U+에는 최근 그룹 차원에서 인공지능 원천기술 확보와 전문가 육성을 위한 연구소를 출범한 데 대해 환영하면서, 인공지능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기술개발 협력 확대 등을 약속했다.
3사 모두에게는 시장성 있는 서비스 모델 발굴과 스타트업·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한 개방형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고, 실감콘텐츠 분야도 5G 이용자가 다양하고 차별화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글로벌 진출도 모색해달라고 했다.
통신3사, 스마트공장, 서비스로봇, 자율관제 사례 언급
통신사들도 5G 융합서비스 선도 모델을 발굴하고 시장 확대 및 글로벌 진출까지 연계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SKT(017670)는 SK하이닉스를 5G·AI·클라우드 기반 스마트공장 실증사례로 구현할 계획이라고 했고, KT(030200)는 서비스로봇 상용화(호텔로봇, 서빙로봇 등) 및 MES(현장 생산관리 시스템) 출시 및 스마트공장 확산, LG유플러스(032640)는 세종시 자율관제시스템 사업 추진 등 자율주행 관련 지속 투자를 약속했다.
VR·AR 등 실감콘텐츠 분야도 언급됐다.
SKT는 실감콘텐츠 서비스(JUMP AR/VR)의 아시아·유럽 등 글로벌 진출 본격화를, KT는 헬스케어·교육 관련 MR콘텐츠 및 AR원격협업 등 콘텐츠 개발을, LGU+는 ‘XR얼라이언스’를 통한 해외 우수 공연 등 콘텐츠 확보 및 수출 촉진 의사를 밝혔다.
정부도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핵심서비스 분야를 적극 지원하고, 신규 서비스 분야를 발굴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5G 융합생태계 구축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로 했다.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는 5G+ 5대 핵심서비스(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의 기술개발 및 서비스 확산을 지원하는 것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와 통신사가 협력의 구심점이 되어 우직한 소처럼 한발 한발 도전과 혁신의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신축년을 5G 융합생태계 구축과 새로운 도약의 원년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민관 협력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