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욱이 그동안 해외 언론을 중심으로 한국의 빠르고 혁신적인 대응 시스템이 극찬을 쏟아내고 있고, 한국의 방역시스템을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움직임들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K-방역이 감염병 대응의 새로운 모델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국제공조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이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7일, 한국과 ‘특별전략 동반자 관계’인 UAE가 긴급하게 코로나 진단키트 구매여부를 외교채널을 통해 요청해 왔고, 외교부가 물품 생산업체를 찾아 지난 주말 진단키트 5만1000개(노블바이오사 제품)를 긴급수출했다”며 “한국과 UAE는 추가물량 공급 계약 체결을 위해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5일 문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왕세제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공조방안 등 의견을 교환했는데, 그에 따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당시 모하메드 왕세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한국의 수준 높고 적극적인 방역조치와 뛰어난 역량을 깊이 신뢰한다”면서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한국과 모든 필요한 협력을 적극적으로 해나갈 것”이라는 뜻을 전달했다.
UAE를 포함해 현재까지 재외 우리공관 또는 주한 외국공관 등 정부채널로 진단키트 지원을 공식 요청한 국가는 총 17개국이다. 동남아 3개국, 중동 4개국, 유럽 2개국, 독립국가연합(CIS)국가 2개국, 중남미 2개국, 아프리카 2개국, 기타 2개국 등이다. 이들 국가 중 빠르게 보낼 수 있는 UAE에 가장 먼저 진단키트가 수출된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강 대변인은 “이번 진단키트의 첫 수출은 코로나19와 관련한 국제공조의 일환”이라면서 “코로나19 대처를 위한 국제공조가 시급한 상황에서 ‘코로나 외교’의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진단키트 외의 국제공조 요청도 상당한 상태다. 강 대변인은 “진단키트를 포함해 방호품 지원을 요청하거나 보건전문가 파견을 요청한 나라는 총 26개국”이라며 “이번에 UAE 긴급수출 외에도 국내 진단키트 생산업체들이 약 30여 개 국가로부터 직접 수출 주문을 접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인 계약은 민간차원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앞서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보다 많은 국가들로부터 진단 키트 등에 대한 수입, 지원 요청이 늘어나고 있다”며 “새로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내 대응이 우선이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최근 들어 이 같은 추세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은 17일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검사수는 28만건이 넘는다. 또한 검사 결과는 6시간 후에 확인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G20(주요20개국) 특별 화상정상회의 역시 현 위기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국제 간 협조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한국의 방역시스템이 호평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선도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지난 15일 독일, 캐나다, 브라질, 이탈리아, 호주 등 5개국 외교장관과 전화 협의를 갖고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13일 한중 외교부 및 방역당국 등 관계부처 참석하에 ‘한중 코로나19 대응 방역협력 대화’ 화상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이날에는 한중일 외교당국간 국장급 협의를 진행했다. 3국은 해당 감염병 퇴치와 상호전파 차단을 위해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서로 간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진다.
우리나라의 차량 이동식 선별진료소인 ‘드라이브스루(drive through)’ 방식을 적용하는 국가들도 늘고 있다. 미국 역시 지난 15일부터 월마트 등 대형 마트와 약국 체인인 시브이에스(CVS) 주차장 등에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를 설치했다. 앞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당국자들을 질병관리본부에 파견한 데 이어 여전히 주미대사관을 통해 드라이브 스루 운영과 관련해 구체적인 질문서 등을 접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