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4분기에 이은 2개 분기 연속 적자다. SK하이닉스는 2011년 3분기부터 2012년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적자를 낸 이후 11년 만에 2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주요 고객사들의 재고 축소 기조가 이어졌으며, 계절적 비수기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용평가사들의 신용등급 전망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3월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을 ‘Baa2’로 유지하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경우 지난 2월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렸다.
션 황(Sean Hwang) 무디스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부정적’ 전망은 올해 실적 부진이 부채 증가를 이끄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올해 SK하이닉스의 상각전영입이익(EBITDA)을 약 5조원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21조원에서 급감한 수치다. 반면 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말 27조원에서 올해 말 33조원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신평사인 한국신용평가도 SK하이닉스의 신용도가 안전하다고 단언하기는 이르다고 꼬집었다. 이어 메모리 반도체 업황 부진을 견뎌낼 수 있는 재무완충력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김정훈 한신평 수석연구원은 “막대한 자본투자와 축적된 연구개발(R&D)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면서 3사(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과점구도는 향후에도 공고히 유지될 것으로 사업안정성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대규모 자본투자가 역설적으로 수요예측 실패에 따른 기회비용 확대로 연결되고, 수요처 집중화로 업황 하강기 단기 실적변동성은 과거 대비 증대됐다”고 꼬집었다.
|
국제 신평사 피치의 경우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을 ‘BBB’, 등급전망을 ‘안정적’으로 새롭게 책정했다. D램(DRAM) 산업이 설비 투자 감소와 감산을 통해 수요-공급 불균형이 완화되고,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2024~2025년에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피치는 “2023년 산업 침체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가 사이클을 통해 3~5%의 긍정적인 잉여현금흐름(FCF) 마진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면서 “메모리 수요 증가와 평균판매가격(ASP) 회복을 중심으로 SK하이닉스의 2024년 매출 성장률 약 30%를 기록하고 피치 조정 EBITDA 마진은 2023년 25~30%, 2024년 40~50%로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규제에 대해서도 “SK하이닉스는 미국 당국으로부터 대중 반도체 장비수출 통제 1년 유예를 받았는데, 이를 1년 더 연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