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꽁꽁 얼어붙은 K사모펀드…“진짜 고난은 내년부터”

김성훈 기자I 2022.11.09 17:20:59

PEF 고난의 시기, 내년이 될 것 전망
숨기고 있던 '아픈 손가락' 수면 위로
가파르게 오른 인수금융 부담도 여전
리스크 대응 관건…자칫 문 닫을수도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국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자본 시장에서 고전하는 가운데 ‘진짜 고난의 시기는 내년이 될 것’이라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껑충 뛴 금리에 자금 유치마저 녹록지 않은 상황이 이듬해 광풍을 몰고 올 것이란 얘기다. 운용사별 리스크 대응 능력이 중요하다는 전망 속 위기를 넘지 못하고 대열에서 이탈하는 운용사도 생길 것이라는 관측마저 나온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하반기 M&A 시장은 사실상 대기업계열 전략적투자자(SI)와 외국계 PEF 운용사들이 주도하고 있다. 실제로 3분기 들어 체결한 한화그룹의 대우조선해양(042660)(2조원)과 네이버(035420)의 포쉬마크(2조3000억원), GS-칼라일 컨소시엄의 메디트(3조원) 인수 모두 SI와 외국계 PEF 운용사들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토종 PEF 운용사들이 자취를 감춘 이유는 가파르게 오른 금리와 침체일로를 걷는 주식시장 때문이다. 금리가 뛰자 인수금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자 상승에 따른 우려가 투자를 주저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금리 인상 기조가 누그러지면 분위기가 반등하는 것 아니냐는 견해를 내기도 한다. 그러나 시장 참여자들의 평가는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시장에서는 내년이 PEF 운용사들의 성패를 좌우할 한 해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도 그럴 것이 PEF 운용사별로 밸류에이션(기업가치)가 크게 빠진 투자처(포트폴리오)들이 너무 많아졌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전에 없던 기한이익상실(EOD·채권자가 빌려준 자금에 대해 만기 전 회수를 요구하는 것)이나 ‘눈물의 손절’이 수면 위로 드러난 상황에서 내년에는 이런 사례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치솟은 금리에 인수금융 작업도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연초만 해도 연 4% 수준이던 인수금융 조달 금리는 최근 연 8% 이상으로 치솟은 상황이다.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더 오를 경우 내년 초 인수금융 조달 금리는 9%를 바라볼 수도 있다. 2배 넘게 오른 인수금융 이자를 내야 하는 상황을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PEF 운용사들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와 올해 연기금·공제회 등 기관투자자들이 주관하는 PEF 위탁운용사에 선정된 운용사들은 그나마 사정이 좀 낫다. 투자를 위한 자금 여력이 있어서다. 반면 투자금이 떨어져 새로운 자금을 모집해야 하는 운용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당장의 한파는 피해가자’며 올해 의도적인 개점휴업에 나섰는데, 내년에도 이러한 상황이 이어진다면 자칫 운용사 존폐기로까지 걱정 해야 할 수 있다.

PEF 운용사를 바라보는 시장의 평가가 냉정해진 상황에서 내년부터 본격적인 옥석 가리기가 시작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과정에서 경쟁력을 입증하지 못하면 궤도에서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는 설명이다.

한 자본시장 관계자는 “현재 분위기만 봐도 SI와 글로벌 PEF들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PEF 운용사들의 존재감이 크게 줄었다”며 “자금이 잘 돌지 않는 ‘돈맥경화’ 상황에서 위기관리 능력을 갖추지 못한 PEF 운용사들은 도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