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전체 분석 활용한 신약개발은 글로벌 추세…한국인 정보 구축 절실"

강경훈 기자I 2017.07.13 15:36:53
김태순 신테카바이오 대표가 컴퓨터를 활용한 가상 임상시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강경훈 기자)
[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개인별 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은 세계적인 추세다. 국내에는 쓸만한 유전체 데이터가 없다. 제대로 된 유전체 데이터 구축을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바이오와 정보통신이 융합되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경쟁력 있는 헬스케어산업을 육성하고 환자의 의료접근성을 형상시키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4차 산업혁명, 환자중심의 보건의료혁신 심포지엄’이 지난 13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김태순(사진) 신테카바이오 대표는 개인별 유전체 분석을 기반한 신약개발의 글로벌 트렌드를 소개했다. 2000년대 초반 게놈프로젝트가 미국에서 시작했을 때만 해도 유전자염기서열 분석 비용은 30억 달러(약 3조4000억원)였지만 지금은 1000달러 시대를 지나 100달러(약 11만원)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컴퓨터의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데이터 저장능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2002년 이미 유전체에 기반한 맞춤의학의 시대를 열겠다고 천명했을 정도이다.

김 대표는 “어떤 사람은 약 한 알로 효과를 보는 반면 어떤 사람은 그 약을 쓰면 효과는커녕 심각한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개인별 유전자 차이 때문”이라며 “미국의 경우 개발 중인 신약의 25% 이상이 유전체 맞춤의학 컨셉이 적용됐을 정도로 유전체 기반 신약 개발은 화두”라고 말했다.

신테카바이오는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킨슨병 신약후보물질의 맞춤의학 현실화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이 회사가 이용하고 있는 유전체 데이터는 미국 마이클제이폭스재단이 모은 파킨슨병 환자들의 유전체 데이터다. 마이클제이폭스재단이 신테카바이오의 유전체 데이터 분석 능력을 인정해 지원을 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미국은 정부 차원이 아닌 민간에서도 다양한 유전체 데이터 정보를 활용하고 있고 양뿐만 아니라 질도 우수하다”고 말했다.

제약사 입장에서 보면 유전체 분석을 활용하면 신약개발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지금은 동물실험으로 신약의 독성을 확인하고, 환자를 대상으로 약의 효과를 검증한다. 김 대표는 “유전체 정보가 많으면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약의 독성을 분석할 수 있고 효과가 더 좋을 환자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며 “그러면 더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의 효과를 높이는 것도 가능해 결과적으로 성공가능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을 개최한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나라가 헬스케어의 융합으로 인한 혁신적 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글로벌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관련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국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어떤 제도와 규제가 필요한지 면밀히 점검해 대응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