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석인 미래한국당은 의원 1명만 있으면 교섭단체를 이뤄 국회 부의장과 상임위원장 등을 배정받을 수 있다. 다만 통합당은 오는 8일 원내대표를 선출하고 지도체제를 확정한 뒤 두 당의 합당 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조수진 미래한국당 대변인은 7일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은 법률적으로 다른 정당”이라며 “타당 최고위원이 미래한국당에 대해 이런 저런 주장을 쏟아내고 있다. 한마디를 내놓을 때는 신중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는 이준석 통합당 최고위원이 전날 미래한국당과 국민의당(3석)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것이라고 관측한 것을 비파한 것이다.
4·15 총선 직후 ‘미래한국당 독자 교섭단체’ 이야기는 정치권의 화두였다. 야권 성향의 무소속 당선인(홍준표·김태호·권성동·윤상현) 4명 가운데 한 명에게 원내대표나 상임위원장 자리를 주고 미래한국당으로 영입해 교섭단체를 구성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무소속 당선인 입장에서도 향후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이 통합하면 자연스레 복당이 가능하다.
특히 미래한국당이 교섭단체가 되면 오는 7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 추천위원 가운데 야당 몫 2명을 모두 차지할 수 있다. 또 미래한국당이 원내 3당 역할을 한다면 통합당이 21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 협상에서 힘을 얻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반면 통합당 의원들은 미래한국당과 빠른 시일 내에 통합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미래한국당이 교섭단체를 이룰 경우 통합당의 ‘자회사’ 성격이 아닌 독립 정당의 길을 갈 것이라는 의구심도 있다.
한 중진 당선인은 “통합당이 선거에서 진 이유가 바로 이같은 정치공학적 꼼수 때문”이라며 “국민 눈엔 상임위원장 같은 밥그릇을 두고 다투는 것으로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재선 당선인도 “원래 합치기로 한 정당이니 통합하는 게 맞다”며 “공천 과정에서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는데 합당을 하냐, 마냐를 두고 갑론을박하는 과정에서 지지율이 또 떨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