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출시는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중요한 마케팅이자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확실하게 어필하는 좋은 수단이다. 소위 ‘신차효과’로 불리는 확실한 판매 보증 수표가 생긴다. 신차 개발에는 통사 4~7년의 긴 과정과 수 천억원의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요즘 수입차 업계는 신차 출시를 하고도 인증이 늦어져 판매를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2015년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 파문이 확산하면서 수입차 인증 절차가 까다로워졌다. 절차가 복잡해져기 보다는 원리원칙대로 처리를 한다는 식이다. 문제는 다른 곳에서 불거지고 있다. 수입차 인증 담당자들은 공통적으로 “관련 정부기관의 인력이 부족하고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한다.
현재 수입차 안전 관련 인증은 1~3개월, 배기가스 및 연비 같은 환경 인증은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만약 해외에서 7월 현재 신차가 출시돼 바로 국내 인증을 시작하더라도 빠르면 내년 초쯤 국내 판매가 이뤄진다는 얘기다. 이처럼 인증의 속도가 더디면 그 이상 기간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수입차 업계 한 인증담당자는 “한-EU FTA 체결로 현지 인증을 서류로 대체하는 인증 방식인데도 절차가 복잡하고 특별한 이유 없이 미뤄지고 있어 업체 입장에서는 답답할 뿐“이라고 하소연한다.
아우디코리아의 경우 신형 A6 인증을 상반기에 끝낼 것으로 예상했지만 6개월 이상 걸리면서 하반기 출시로 예정을 바꿨다. 사실상 아우디코리아는 인증 지체로 상반기 판매할 차종이 없어 영업을 중단했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수입차 업계에서는 ”인증 통과가 곧 판매실적“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수입차 인증 절차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관련 정부의 전문인력 충원은 물론 인증 시스템과 시설 또한 증설해야한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나온다. 인증 절차를 무작정 간소화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인증은 대기환경에 영향이 있는 만큼 철저하게 해야한다. 지난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의 교훈이 증거다. 다만 불필요한 시간 낭비는 줄여야 한다. 수입사에게 비용 부담과 시간 낭비를 초래하는 늑장 인증 절차는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