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한국여성단체연합은 개혁신당 대선 후보였던 이 의원이 지난 5월 27일 대선 후보 TV 토론에서 모든 시민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상대 후보를 공격하기 위해 여성의 신체에 대한 폭력을 묘사하는 언어 성폭력을 저질렀다며, 이 의원을 국회의원직에서 제명해달라는 내용의 국민동의청원을 게시했다.
당시 이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장남의 댓글을 인용해 발언했는데, 해당 표현이 여성 신체를 대상으로 한 노골적인 성폭력적 표현이라는 비난이 일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저한테 언어 성폭력이라 할 것 같으면 앞으로 극악무도한 범죄를 보도한 언론에도 똑같은 지적을 할 것인지 궁금하고 내로남불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그 발언을 더 순화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지만 이재명 정부에서 장관 후보자들 논란이 나오는 걸 보면, 예를 들어 강선우 후보자에게 제기했던 의혹이 여권의 집중포화를 받는 대상, 그럴 리 없지만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께서 그런 일에 만약 연루됐다면 여성단체도 그렇고 여기저기 단체에서 이미 성명 많이 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의원의 주장과 달리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단체는 강 후보자가 여가부 장관으로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 의원은 제명 청원은 조건을 충족해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돼 심사를 받아야 하지만 현재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아 곧장 징계 심사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원 제명은 국회 윤리특위 심사와 본회의 의결을 통해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가능하다.
이 의원은 자신과 개혁신당이 ‘2030 남성’의 지지가 큰 이유에 대해 “대선 이후 2030 남성이 이재명 후보를 안 찍었다는 이유만으로 몇몇 친정부 언론들에서 극우로 묘사한다”며 “2030 남성 중에서 계엄에 반대하고 탄핵에 찬성했던 사람들이 보통 개혁신당 지지자다. 애초에 분석 자체를 엉터리로 하고 있다. 2030 남성이 극우였으면 왜 이준석을 찍는가? 극우면 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만 찍어야지”라고 말했다.
이어 “머릿속에 갈라치기밖에 없는 사람들이 남보고 계속 갈라치기라고 하는 거다”라며 “제가 2030 남성을 위해서 우월적인 정책이나 아니면 여성에게 차별적인 정책을 내놓은 것이 단 하나라도 있으면 예시를 들어보면 된다. 그런 게 없다. 여가부 폐지 얘기하는 분 있는데, 여가부 폐지는 아마 이재명 대통령이 지금 당위를 만들어 주고 계신 게 아닌가. 장관 임명할 사람이 민주당에서도 없는 거잖나”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금 이 대통령의 고민은 본인이 여성단체 운영하는 사람들을 여가부 장관 앉히려고 보니 지난 대선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또 그런 정책 때문에 본인 지지율 왕창 빠질 걸 걱정한다. 그럼 무색무취한 다선 의원 정도 되는 민주당 의원을 넣자 하니 이런 일이 터진 거라고 생각한다”며 “이 대통령의 마음 속에서도 지금 여가부 장관은 아마 계륵 같은 자리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지난 14일 ‘보좌진 갑질 의혹’이 제기된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끝난 뒤에도 취업 방해, 임금 체불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소명 여부와 설득력 여부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