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MP에 따르면 한 달 동안의 전면적인 봉쇄는 상하이시의 총 실질 소득 2.7%를 감소시킬 것으로 추산된다. 계속되는 통제로 인해 중국 경제 전체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고 있는 것이다.
홍콩중문대와 중국칭화대·저장대, 미국프린스턴대 연구진은 중국 전역의 엄격한 방역 정책으로 매월 460억 달러(약 56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중국 전체 GDP의 3.1%에 달하는 규모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아이리스 팡 ING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상하이 봉쇄가 장기화한다면 이달에만 상하이의 경제가 6%가량 위축될 것”이라며 “이는 중국 전체 GDP의 2%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추산했다.
상하이시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4조 3214억 8500만위안으로 중국 도시 가운데 1위, 중국 전체 GDP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인 베이징(4조 269억위안)보다 경제규모가 더 크다.
문제는 중국이 시스템적으로 ‘위드코로나’를 시행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국은 인구가 14억명에 달해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날 경우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 있는 데다 기존 유통되고 있는 중국산 백신은 오미크론 등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취약계층인 중국의 60세 노인 인구는 2억 6400만명(2020년기준)으로 전체의 18.7%에 달한다.
|
중국 내에선 강력한 방역 정책에 따른 희생자가 늘며 국민들 사이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사망자보다 방역 정책으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음성 결과지가 없다고 병원에 가지 못해 숨지거나, 핵산(PCR)검사를 받으러 줄 서는 과정에서 다툼이 벌어져 노인의 자원봉사자가 사망한 사건도 있다.
중국의 강압적인 방역 정책은 전세계의 비난을 받기 시작해 외교적인 갈등으로 번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전날 미국 정부가 상하이 총영사관 비필수 인력의 철수 명령을 내리자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우리는 미국이 인력 철수 문제를 정치화, 도구화하는 데 대해 강렬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명한다”며 “코로나19를 빌미로 한 정치 농간과 중국에 대한 모독과 먹칠을 중단해야 한다”고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