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지난 2017년 저렴한 실손보험 타이틀로 출시한 ‘착한실손’도 기존가입자의 이동을 끌어내지 못했다. 착한실손은 기존의 단일 보장 구조를 ‘기본형’과 ‘특약형’으로 분리해, 보험료를 기존 대비 35%가량 낮춘 상품이다. 비급여 항목을 특약형으로 만들어 별도로 판매한 것이다. 하지만 특약 보장과 무관한 가입자들이 기본형을 택할 것이라 예상과는 달리 대부분의 가입자는 보장 수준을 확대한 ‘기본+특약’ 형태로 가입했다. 실손 보험 가입의 주된 목적은 비급여진료를 받을 경우의 비용 부담을 낮추는 것인데, 특약 상품의 경우 자기부담비율이 30%로 종전 20% 대비 10%포인트 높아졌기 때문이다.
실제 착한실손 가입 비중은 기존 상품 대비 현저히 떨어진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표준화 전ㆍ후 실손보험의 가입자는 총 2806만건으로 실손 전체의 80.9%를 차지한다. 3년 전 출시된 착한실손의 비중은 610만건으로 17.6%에 불과하다. 착한실손을 사실상 실패작으로 보는 이유다.
보험업계는 정부의 비급여 관리가 손해율을 낮출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꼭 필요한 진료가 아닌데도 비급여항목으로 치료를 받는 과잉진료나 의료쇼핑으로 인해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비급여 항목은 병원마다 가격차이가 크다.
정성희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상품구조 개편으로 실손보험 지속성을 도모해도 비급여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 효과성은 현저히 떨어질 것이 자명하다”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도 비급여 관리를 통한 의료비 총액 관리가 핵심”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