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취업자 증가폭 30만 밑돌아…일용직·임시직 타격
업종별로 특히 건설업 일자리 증가세가 반 토막 났다. 건설업 취업자는 10월에 11만 8000명 늘었으나 지난달에는 6만 8000명 증가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날씨가 쌀쌀해져 일용직을 중심으로 건설 현장 일감이 줄었다”고 말했다. 일용직 임금 노동자는 지난달 3000명 줄며 석 달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임시직 일자리 등이 많은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 8000명 줄어 10월(-2만 2000명)보다도 감소 폭이 확대됐다. 11월 소비자 심리 지수가 6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는 등 소비 확대 기대감이 커지는 것과 대조적이다.
◇실업률 8년만에 최고…靑 내달 ‘청년 일자리 대책’ 논의
실업은 청년들만의 고민이 아니다. 지난달 전체 고용률은 61.2%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찔끔 상승했다. 15세 이상 인구 10명 중 6명 정도가 일자리를 가졌다는 의미다. 실업률은 3.2%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오르며 11월 기준으로는 2009년(3.3%)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으로 거시 경제 지표 자체는 좋아졌지만, 이를 제외한 부분에서 신규 일자리가 거의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며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가계의 가처분 소득도 늘지 않아 정부 의도와 달리 안정적인 경기 회복에 상당한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더딘 일자리 회복세가 가계 소득을 늘려 내수 소비를 촉진하고 성장을 이끈다는 문재인 정부의 이른바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이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내년 경제 정책 방향을 일자리 창출, 청년 등 취약 계층 취업 애로 해소, 일자리 창출 등에 초점을 맞춰 수립하고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다음달 ‘청년 일자리 대책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