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문승관 김경은 기자] 40대 직장인 김 모 씨는 매일 30분 정도 걸어서 퇴근한다. 교통비도 아끼고 보험사가 제공하는 디지털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 ‘일주일 걷기 목표’를 달성하면 음료 쿠폰을 받고 건강도 챙길 수 있어 하루도 거르지 않고 퇴근길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매주 6만보를 걷는다는 김씨는 보험료 할인 혜택까지 챙길 수 있게 됐다.
이르면 연내 이와 같은 보험사의 헬스케어(건강관리) 서비스와 관련 보험상품이 선보일 전망이다. 그간 비의료기관의 유사의료행위 엄단을 주장하는 의료계 반발로 막혀 있던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 진출 문턱을 정부가 나서서 낮춰주기로 했기 때문이다.
◇건강관리형 보험상품 가이드라인 제정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2일 보험연구원 주최로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보험회사 CEO 및 경영인 조찬 세미나’에 참석해 “천편일률적인 보험상품, 유병자나 고위험 직군에 대한 위험보장 공백 등은 물론 국내 보험사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가 해외 주요국 대비 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달 중 인슈어테크(Insurtech)인 건강관리형 보험상품과 관련한 상품개발 기준을 제정해 배포할 계획이다. 그동안 보험사의 고객건강관리서비스는 위법 소지가 커 우량고객 병원진료ㆍ검진예약 대행, 고령자 대상 간병 상담, 응급환자 이송서비스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만 제공했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서비스 범위가 급속도로 확대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계약자는 건강관리 노력을 통해 보험료 할인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보험사도 계약자의 질병 발생 확률, 조기 사망확률이 낮아지면서 손해율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용창출·의료재정 해결 ‘두 마리 토끼 잡기’
정부가 헬스케어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건 고령화에 따른 의료 재정을 아낄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용 창출 등 경제 성장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관련 의료시장이 2014년 3조원에서 2020년 14조원으로, 연평균 12.5%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산업에서 10억원 상당의 상품·서비스를 만들 때 고용인력이 평균 8.8명이라면 헬스케어 산업은 16.9명 늘어난다는 분석 결과다.
홍석철 서울대 교수는 “건강관리 부문의 효율성을 개선하면 인구 감소와 저성장으로 부담이 커지는 개인 의료, 국가 의료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험사 준비 ‘속도전’
보험사의 준비작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AIA생명은 지난달 국내 최초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건강관리 서비스 ‘AIA 바이탈리티’를 개설해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에 진출했다. 최근 KT와 NH농협은 업무협약(MOU)를 맺고 스마트밴드 네오핏 등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보험가입자의 건강 증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보험금을 절감해 돌려주겠다고 했다.
삼성화재는 지난해 미국 건강보험사인 애트나생명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헬스케어 사업 구축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했다. 삼성화재는 건강보험 가입고객 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해 맞춤형 건강서비스 사업을 선보인다는 전략이다. 삼성화재는 고객 개인 특성에 맞는 건강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이와 함께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선보이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생명도 건강관리 사업자이자 보험사인 ‘디스커버리’를 벤치마킹해 가입자들의 습관과 건강정보를 분석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이탈리티’ 프로그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수집된 건강 정보가 보험료 인하와 적극적인 건강 상담 등으로 연결하는 미국·일본과 비교하면 한국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윤성훈 보험연구원 실장은 “건강관리 상품 도입은 보험업 전반의 사업방식 변화를 촉발해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