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는 “이 후보자는 대학 행정 경험과 대통령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에는 관심과 의지를 보였을지 모르나, 유·초·중등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실천 경험이 현저히 부족하다”며 “입시경쟁 해소, 사교육비 경감, 국가책임 유보통합, 고교학점제 운영, 교육과정 개편, 교권 보호 등 산적한 교육 현안을 해결할 역량과 비전을 보여준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 이 후보자는 자녀를 중학교 시절 미국으로 조기유학 보낸 사실을 스스로 인정했다”며 “이는 현행 초·중등교육법 하위 법령을 위반한 것으로, 자녀에게 특권을 부여한 선택”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사교육으로 대표되는 조기유학을 선택한 사람이 공교육 수장 자리를 맡을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전교조는 최근 논란이 커지는 제자 논문 표절 의혹도 언급했다. 이들은 ”이 후보자는 (표절 의혹이 제기된) 논문이 자신이 연구책임자였던 과제의 일환이며 실질적 기여는 본인이 했다고 해명했다“며 ”이는 지도교수로서 제자의 학위논문이 잘못됐음을 인정하는 것이며 인용 없이 자신을 제1저자로 올린 것은 명백한 표절로 연구 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충남대 총장 재직 시절 학생과 동문이 자발적으로 설치한 ‘평화의 소녀상’을 불법 시설물로 규정하고 철거를 요구한 사건은 단순한 행정 실패를 넘어 후보자의 역사 인식과 교육 철학에 근본적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며 ”교육부 장관으로서 교육개혁과 현장과의 소통을 해낼 수 있으리라 기대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