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금융은 비용이 아니라 기회다.”(김성주 금융감독원 지속가능금융팀장)
16일 서울신라호텔에서 ‘기후위기:가능성 있는 미래로의 초대’를 주제로 열린 제13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기후금융,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대담 세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금융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탄소중립 이행 과정 중 필요한 많은 금액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의 자금 공급이 필수다. 구체적으론 탈탄소 기업, 재생에너지 기술 등에 돈을 빌려주거나 투자하고, 탄소 배출이 많은 기업엔 대출을 줄이는 게 기후금융이다.
국내 기후금융은 빠른 속도로 확대하고 있다. 안욱상 산업은행 ESG·뉴딜기획부장은 “환경 친화적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녹색채권 잔액이 2020년 3월 2조원 규모에서 올해 3월 17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고 했다.
그만큼 ‘녹색 활동’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다. 김성우 소장은 “국내 기업은 공통적으로 수소, 재생에너지, 탄소 포집 및 활용기술, 바이오기술 등 네 가지에 투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민간부문에서 기후금융이 담당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안 부장은 “태양광, 풍속 발전소 등 재생에너지 발전소는 보통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리스크를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반적인 기업금융과 달리 미래 현금 흐름을 기반으로 한 금융이다보니 위험 요인을 판단하기가 어렵고, 이 때문에 민간 금융회사가 참여하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는 “해상 풍력사업은 불과 6~7년 전만 해도 유럽에서조차 PF로도 자금조달이 쉽지 않았던 상황”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의 김 팀장은 “기후금융은 비용이 아니라 기회”라며 금융회사의 기후금융 참여를 독려했다. 김 팀장은 “기업이나 소상공인 대출을 취급할 때 기후변화에 따른 자금 지원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특정 시기에 기후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대상으로 적재적소에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기후변화에 따른 기업의 재무변화를 분석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수도 있다.
김 팀장은 “대체에너지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금융 활동들이 일어나고, 금융회사는 이 과정에서 기후금융을 혜택과 기회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또한 “우리 금융기관이 하는 건 자본주의 흐름을 읽는 것”이라며 “택소노미에 기반한 투자를 확대하고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 임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선명한 정책 신호를 던져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김 소장은 “수소 등 기술에는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에 의해 수요를 예측한 뒤 투자해야 하는데, 지금은 정책 시그널이 선명하지 않은 상태”라며 “기업들이 수소에 투자하려 해도 수요가 얼마나 일어날지 알기 어려워 불안한 투자결정을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임대웅 대표는 감독 당국 역할을 강조했다. 임 대표는 “금융회사는 ‘좌초 자산’ 가능성이 큰 화석자산에 자금을 투입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며 “금융회사들이 지속 가능한 곳에 얼마나 자금을 공급하고 있는지 등의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기후 금융회사 정책 당국 활성화를 위해 제언했다. 김 팀장은 “미래의 효용과 현재의 비용을 누군가 메워줘야 한다. 그게 정책 기후금융이 돼야 한다”고 말했고, 임 대표는 “지속 가능한 정책 로드맵을 짤 것을 요청하고 싶다”고 요구했다. 안 부장은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위해 기업 금융기관과 정부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