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난달 27일 교육부는 반도체 등 첨단분야 대입 정원을 1829명 증원한다고 발표했다. 교육부는 지방대의 반발을 우려해 수도권(817명)보다 비수도권(1012명)에 더 많은 증원을 허용했다. 다만 비수도권 반도체 학과 충원율이 지난해 기준 81.1%에 불과해 이번 증원이 사실상 수도권 쏠림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지방대학 총장들은 “서울 등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의 양극화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다시 강조한다”며 “비수도권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슷한 학과 중 경쟁력이 떨어지는 곳은 학생 모집이 더욱 어려워 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서 정부의 반도체 인재양성 방안이 수도권 규제완화로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으며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며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간의 불균형이 있는 상황에서 지역과 관계없이 정원 증원을 할 경우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재유출이 심해지고 취약한 여건의 비수도권 대학은 심각한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교육부에 첨단분야 정원 증원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을 촉구했다. 총장들은 “지방대 총장들은 비수도권 대학의 침체와 지방소멸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지적한다”며 “정원 증원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을 강구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첨단학과 증원 등을 두고 지방대와 교육부의 갈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방대 총장들은 교육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한 지방대 총장은 “교육부가 대학 총장들을 정책 파트너로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며 “정책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나를 따르라’식의 운영은 올바르지 않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