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2013년부터 미래전략실 주도 아래 삼성 계열사들은 웰스토리에 비싼 값으로 급식 일감을 몰아줬다. 공정거래법 위반이라는 것이다. 웰스토리는 매년 당기순이익의 67~114%인 500억~930억원을 삼성물산에 배당했고, 이로 인해 2015~2019년 이 부회장이 최대주주이자 웰스토리 지분 100%를 보유한 삼성물산이 받은 배당금 총액은 2758억원 달했다. 구(舊)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당시 물산 쪽 주주들의 반발을 무마하고자 배당 확대 정책을 폈는데, 이 과정에서 웰스토리가 일종의 자금줄 역할을 했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이었다.
당시 공정위는 경영권 승계를 위해 웰스토리 부당지원 행위가 이뤄졌다는 결론은 내지 않았다. 하지만, 검찰은 이 부분을 더 파헤칠 공산이 있다는 게 법조계의 관측이다. 최근 검찰이 중앙지검 공조부에 6명의 검사를 추가 파견시켜 2팀 체제에서 3팀 체제로 확대 개편한 것도 이 같은 분석을 부추긴다.
반면, 재계는 물론 검찰 일각에서도 이번 수사가 이 부회장으로까지 확대하긴 어려울 것이란 시각도 제법 있다. 국정농단·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수사 등을 통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둘러싼 경영권 불법승계 의혹 전반을 들여다본 만큼, 새로운 스모킹건(결정적 단서)을 찾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물산이 받는 계열사 배당 중 웰스토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못 미친 데다, 총수일가 지분율을 고려할 때 웰스토리 배당금을 다시 전액 재배당해도 총수일가에 흘러간 금액은 많아야 한해 150억~280억원 수준”이라며 “시가총액 600~700조원에 달하는 삼성그룹 입장에선 푼돈으로, 이를 경영권 승계를 위해 썼다는 건 어이없는 얘기”라고 했다.
삼성 측은 이번 검찰 수사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삼성은 웰스토리에 맡겼던 사내 급식사업을 외부 기업에 점진적으로 개방하는 등 일감 몰아주기 논란에 대한 자구책을 펴고 있다. 작년 8개의 사내식당을 외부에 개방한 데 이어 올해에도 28개를 추가, 국내 8개 사업장 사내식당 36개 모두를 경쟁입찰을 통해 운영하게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