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정민 기자] 국내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첫 환자가 발생한 지 8일 만에 환자가 7명으로 늘어났다. 국내 방역 체계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본부는 28일 최초 메르스 환자 A(68)씨와 같은 병원에 입원했던 F씨(71)와 A씨를 치료하던 J(28·여) 씨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메르스 감염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두 사람은 국가지정격리병상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두 사람은 모두 2차 감염 환자로 이들에게서 병이 옮은 3차 감염 환자는 발생하지 않았다는 게 보건 당국의 설명이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뒤 고열 등 의심 증상이 발생한 남성이 중국으로 출국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 남성은 세 번째 환자 C(76)씨의 아들로 네 번째 환자 D(40대 중반·여)씨의 동생이다.
이처럼 메르스 환자가 7명으로 늘어나자 보건복지부는 메르스 확진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 중 자가(自家) 격리 대상에서 빠진 이가 있는지 전수 재조사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장이 주관하던 대책 본부를 차관 총괄로 격상해 ‘메르스 관리대책본부’를 구성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환자 발견이 지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공항 검역도 강화한다. 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가용한 콜센터를 모두 동원해 중동지역 입국자 전원을 대상으로 발열 등 메르스 의심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는지 유선으로 2회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다.
또한 유사시에 대비해 국가지정 격리병상 이외에 국립병원, 지방의료원 등 전국 의료기관에 사용할 수 있는 격리 병상을 파악해 준비 점검하도록 했다.
한편, 메르스 환자 1명은 보통 0.6~0.8명 정도의 사람에게 병을 옮기는 것(기초감염재생산수)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첫 환자가 6명에게 메르스 바이러스를 옮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방역 체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