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의 단체 행동 첫날인 20일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응급실이 오전 이후 환자를 더는 받지 않겠다고 하는 등 의료 현장 곳곳에서 혼란이 커지자 의료계 안팎에선 양측이 대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는데 입을 모으고 있다. 전공의가 담당했던 당직 등 현장 공백을 현재 전문의와 교수들이 메우고 있지만 이런 상황이 장기간 이어질 땐 그 누구도 버티지 못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결국 의료계 전면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모든 피해는 국민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동맹휴학’을 결의한 전국 40개 의대생들도 휴학계 제출을 이어가고 있다. 교육부가 집계한 의대생 휴학계 제출 학생수는 7개 의대 1133명(19일 오후 6시 기준)에 이르렀다. 이날도 부산의대생 590명중 98.6%에 달하는 528명이 휴학계를 제출했으며 이화여대도 전체 의대생 284명 중 282명이 서면으로 휴학 의사를 표명했다.
‘의-정’ 강대강 대치 국면이 지속되면서 전문가들뿐 아니라 일부 의료계에선 양측의 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확대되고 있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누군가 중재를 해서 타협책을 내야 될텐데 이젠 (의대증원)숫자를 줄이는 것으론 어느 쪽도 타협하지 않을 것 같다”고 짚었다. 이어 “의사들이 환자를 떠난다면 명분도 신뢰도 얻지 못한다”며 “일단 돌아와서 의사답게 정부에 정책을 건의하면서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행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분당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는 “전공의가 나갔다고 병원이 멈추는 의료시스템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의-정이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82개 대학병원 임상강사·전임의들도 입장문을 내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한 의사들과의 진정한 소통을 시작해야 한다”며 정부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한편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2000명 증원은 말 그대로 최소한의 확충 규모”라며 “의료개혁은 절대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확고한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