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의 국내 인프라 위탁운용사는 지난 2019년부터 4년째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 2019년 1분기 15곳이었던 국내 인프라 위탁운용사는 2019년 2분기부터는 14곳, 2020년 3분기부터는 13곳, 2021년 4분기 12곳에 이어 올해 1분기에는 11곳까지 줄었다.
같은 기간 국내 인프라와 유사하게 부동산 위탁운용사도 감소세다. 2019년 1분기 20곳이던 국내 부동산 위탁운용사는 지난해 4분기 14곳까지 줄었다가 올해 1분기 디앤디인베스트먼트가 추가되면서 15곳이 됐다.
국내 부동산이나 인프라와는 달리 사모투자펀드(PEF)나 벤처캐피탈(VC) 투자를 포함하는 기업투자 영역에선 위탁운용사 수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국내기업투자 위탁운용사는 80곳에 달한다. 전 분기 대비 한 곳이 제외되고 두 곳이 추가로 선정됐다.
|
국내 인프라·부동산 투자에 대한 국민연금의 회의적인 시각은 최근 대체투자 위탁운용 범위 확대에서도 드러난다. 국민연금은 지난 2월 대체투자 위탁운용 허용범위 한도를 기존 95%에서 99%로 늘리면서 사실상 대체투자 전체를 위탁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국민연금의 해외 대체투자는 모두 위탁운용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때문에 위탁운용 범위 확대는 국민연금이 국내보단 해외 대체투자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당시 국민연금은 “대체투자 비중 확대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고 의도하지 않은 집행 제약의 발생 가능성을 해소해 기금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범위를 조정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 안팎에서는 위탁운용 범위를 확대하면 국내 투자에 소홀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지만, 이 역시 수익률 차원보다는 ‘국민이 가입자인 국민연금이 국내 인프라·부동산 투자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일종의 당위론적 주장이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은 기금 규모 때문에 투자 건당 집행 금액이 클 수밖에 없는데 국내에서 이 기준을 충족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낼 만한 자산이 많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국민연금 입장에선 해외 대체투자를 선호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