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삼전도에서 청나라에게 머리를 조아린 것이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며 “남한산성에서는 식량이 남아있지 않았다. 싸워서 이길 수 없었다. 준비를 안한 조선의 무기력과 무능력이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척화를 했으면 나라를 구할 수 있었을까. 그 호기는 턱도 없는 관념론”이라며 “그렇게 해서 구할 나라가 아니었다. 민주당이 이걸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역사적 실력이 이것밖에 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 최대 야당 아닌가”라며 삼전도 굴욕과 비교한 이 대표 비판이 부적절함을 거듭 강조했다.
김 지사는 “윤석열 대통령과 박진 외교부장관의 애국심에 고개 숙여 경의를 표한다”며 이번 해법을 주도한 것을 “통큰 결단이라 부르고 싶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통큰 결단은 불타는 애국심에서 나온다”며 “박정희 대통령의 한일협정, 김대중 오부치 선언을 딛고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었다. 그들도 친일파 소리를 들었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의 결단은 지고도 이기는 길을 가는 것”이라며 “일본의 사과, 참회를 우리가 요구하고 구걸할 필요가 없다”고도 밝혔다. 그는 “그들이 진정한 의미에서 구원으로 가기위해 그들이 (사과를) 선택해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전날 발표된 강제징용 해법은 일본 가해기업의 배상안이 배제되고 국내 기업 기부로 조성한 재단 출연금으로 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 방안이 담겨 논란이 됐다.
가해기업 배상을 면제받은 일본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추가 사과 성명 등을 채택하는 것이 아닌 이전 담화의 계승을 표명하는 데 그쳐다. 그마저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직접 의지를 밝히지 않고 외무상이 짧게 메시지를 낸 게 전부였다.
생존 징용 피해자 3명은 곧장 해법 수용 거부 의사를 밝혔고, 시민사회 단체들은 전날 밤 바로 촛불집회를 열어 정부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이날 “한일 양국 이익을 위한 결정”이라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