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더불어민주당이 4년 중임제 개헌 등을 골자로 한 협치를 제안한 가운데 야당 후보들은 진정성을 의심했다. 윤석열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 문제를 거론하며 책임론을 제기했다.
|
이어 “중요한 개헌 담론이 선거를 불과 열흘 앞두고 전격 제안이 되고 정권 교체라는 거대한 민심 흐름을 정치 교체라고 하는 프레임으로 치환하는 선거 전략으로 악용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과거 ‘연동형 비례 대표제’ 관철을 위해 정의당과 협력한 후 위성 정당을 만들었던 사례를 들었다. 그는 “(그때도) 정의당의 뒷통수를 쳤다”면서 “과연 정상적인 국민의 논의와 고민을 담을지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위성정당 문제와 관련해 국민의힘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위성정당 문제는 국민의힘에서 먼저 시작해서 민주당이 어쩔 수 없이 따라갔다”면서 “(본인은) 국민의힘이 그러더라도 따라가지 말자고 했는데 국민의힘이 먼저 하자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위성정당 관련해서 (더불어민주당은) 제3당에 사과했는데 국민의힘은 위성정당과 관련해 (제3당에) 사과할 의향이 없는가”라면서 윤 후보에 물었다.
윤 후보는 “(당시) 정치를 하지 않았다”면서 한 발을 뺐다. 다만 그는 “국민의힘의 전신인 자유한국당과 미래통합당에서 반대를 했지만 패스트트랙으로 밀어 붙였다”면서 “(이런 이유로) 미래통합당, 자유한국당에서 ‘그렇게 할 것 같으면 위성정당으로 만들어 가자’고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다수제와 비례대표제를 결합시킨 선거 제도다. 정당 득표율대로 각 정당이 의석을 가져간다는 점과 사표를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20대 총선 전인 2019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했다. 당시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은 반대했지만 결국 비례용 위성정당 창당으로 방향을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