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내년 韓경제 2%대 저성장 전망.. 주력산업 회복세 불투명"

이진철 기자I 2016.11.15 14:00:22

전경련, 2017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
전자·철강·건설 호조,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둔화 '3강 3약'
"수출 회복 모색하고 내수 추가침체 방어해야"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이 15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17 경제·산업전망 세미나’에서 주제발표하고 있다. 전경련 제공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내년 한국 경제가 저성장을 지속하고 주력산업도 회복세가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3강(전자·철강·건설) 3약(자동차·조선·석유화학)의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전경련 주최로 열린 ‘2017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한국 경제는 소득증가 부진, 가계부채 리스크, 건설경기 둔화 등 내수 부진으로 3년 연속 2%대 저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내년도 대외여건은 올해보다 나아져서 수출은 미약하나마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 원장은 “내년 상반기 미국의 경우 소비 중심의 성장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기준금리가 완만하게 인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은 기업 부채와 과잉 공급 축소 등으로 경기가 둔화되지만 경착륙보다는 L자형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며 “유로존과 일본은 각각 브렉시트 협상과 아베노믹스 한계로 경기 회복세가 제약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내수 추가 침체를 방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단기적인 경기 부양과 잠재성장률 제고 및 경제체질 강화가 병행돼야 하고, 소득계층과 자산 규모를 고려한 가계부채의 질적 대응책이 마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연사로 참여한 전문가들은 2017년 국내 주력산업 회복세가 여전히 더디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주요 업종별 기회와 위험 요소의 경중을 따져보면 3강(전자·철강·건설) 3약(자동차·조선·석유화학)의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위원은 “전자업종은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면서 기존 스마트폰 중심의 성장전략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지만, 듀얼카메라와 플렉서블 발광유기다이오드(Flexible OLED) 중심의 하드웨어 시장은 수요 증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2세대 전기차 사이클(GM볼트, 테슬라모델3 등) 시작에 따른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 수혜도 기대해볼만 하다”고 진단했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철강산업에 대해 자동차, 조선, 기계 등 전방산업 침체 영향에도 철강재 및 비철금속 가격 상승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 강세 등 영향으로 내년 상반기 출고가격은 약 15~20%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최근 국내 철강업체의 수익성 개선으로 구조조정 필요성도 약화됐다”고 덧붙였다.

건설산업 역시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해외 저가수주로 인한 손실 반영이 상반기 중 완료되고, 글로벌 재정확대 정책기조에 따른 AIIB(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와 이란시장의 신규 발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주택신규분양 둔화는 우려되지만, 최근 3년간 주택시장 호조에 따른 주택매출 급증으로 건설사의 영업이익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자동차 수요 둔화가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송선재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은 “내년 글로벌 자동차 수요증가율은 2%로 하락하고, 특히 국내 업체들의 주력 시장인 미국(0%), 한국(-2%) 시장의 부진이 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새로운 모빌리티 출현 등 미래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되는 시기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다면 위기는 더 심화될 것”이라 지적했다.

조선은 극심한 발주 가뭄을 통과해 2018년까지 업황 개선이 기대되지만 그 속도는 매우 느릴 것으로 전망했다.

전재천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내년 선박발주는 노후선박 교체만 기대해도 올해보다 늘어날 것이고, 2020년 이후 적용될 SOx(황산화물) 등 신규 환경규제가 선박 교체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수주잔량이 빠르게 줄어드는 상황에 수주 개선 시점이 조금이라도 늦어진다면 조선사들의 매출은 악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석유화학은 수요 우위(수요증가>신증설 규모) 상황이 이어지지만, 상반기 경기 정점을 경험한 이후 하락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응주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은 “시설 정기보수가 대부분 상반기 마무리되고, 하반기 북미 ECC(에탄분해시설) 신증설 물량 출회를 업황 전환의 주요인”이라고 진단했다.

2017년 국내 주력산업 경기전망 및 주요 요인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