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약이 무효' 中경기…대규모 부양책 꺼내드나

이명철 기자I 2023.08.09 23:59:00

中 7월 CPI·PPI 동반 마이너스 “사실상 디플레 진입”
"잃어버린 30년 일본과 비슷해"…한국 등 주변국 여파
“기존대책 경기진작 한계, 인프라 투자·통화 완화 필요”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중국이 사실상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에 진입함에 따라 세계 경제에 파급될 여파에 이목이 집중된다.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은 내부에서는 소비·투자 부진을 겪으면서 안팎의 이중고에 처한 상황이다.

중국 경제가 휘청거리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 경제 및 금융시장에도 우려가 커질 수 있다. 올해 5% 경제성장을 천명한 중국 정부 입장에서도 저성장이라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부양 정책을 내놓을지 고심이 깊어질 전망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경제 활동 재개했지만, 활성화 기척 없는 中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는 9일 전세계 경제의 최대 이슈 중 하나였다. 중국은 올초 경제활동 재개를 선언했음에도 수요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면서 경제 회복세가 지연되고 있다.

7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하락한 이유는 돼지고기 가격 급락 등 식품 물가가 내린 영향이 크다. 식품·에너지 비용을 제외한 근원 CPI는 0.8% 올라 전월(0.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하지만 중국의 물가 하락이 일시적이란 견해는 드물다. 중국 CPI의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이미 4월부터 0%대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6월엔 제로(0%) 수준까지 낮아졌다. 이어 7월에는 2년 5개월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함에 따라 중국의 디플레이션이 확인됐다.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전년동월대비 4.4% 하락하면서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째 마이너스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의 중국 수석전략가인 싱 자오펑은 로이터통신에 “CPI와 PPI는 모두 전년동기대비 마이너스 영역으로 떨어지면서 경제 디플레이션을 확인했다”며 “하반기에도 CPI는 0%대에 머물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세계적인 수요 둔화로 수출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7월 중국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4.5% 급감했다.

이는 수출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중국 제조업의 부진으로 연결되고 투자 위축과 근로자들 수요 약화로 이어진다. 부동산 시장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해 관련 제품·서비스 판매도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달 중국에선 자동차·스마트폰·가구·가전제품과 임대료 등의 물가가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가 살아나지 않자 7월 중국 수입액은 전년동월대비 12.4% 감소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인 중국의 수요가 줄어들면 우리 경제에도 타격을 준다. 우리나라의 7월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6.5% 줄면서 10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여기엔 중국의 수요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9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의 한 마트에서 고객들이 상품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AFP)


◇일본 전철 밟을라…“대책 신속하게 마련해야”

중국의 저성장은 ‘잃어버린 30년’으로 불리는 일본의 장기적인 경기 침체와 유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최근 보도를 통해 ‘중국 경제의 일본화’에 대한 우려를 심층적으로 다뤘다. 중국 기업과 가계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지출을 꺼리고 있으며 은행에 돈을 넣어두고 있는데 이는 1990년대 일본과 비슷하다며 ‘버블(거품)’이 붕괴된 후 침체에 빠진 일본의 절차를 밟을 수 있다고 봤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디플레이션 우려를 차단하고 있다. 국가통계국은 이날 발표 후 “중국 경제가 회복되고 시장 수요와 공급이 계속 개선되면서 지난해 기저효과가 없어짐에 따라 CPI는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도 애널리스트 말을 인용해 “이번 CPI는 연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앞으로 몇 달 안에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민간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 및 세제 지원, 민간 투자 활성화, 자동차·가전·가구 등 내구재 소비 촉진 등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수요를 진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경기 침체 여파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장에서는 대규모 부양책을 기대하고 있다. 인프라 투자를 확대해 부동산 경기를 끌어올리거나 중앙은행 차원의 추가 지급준비율 인하 같은 통화 완화 등이 거론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의 디플레이션 전환은 정부에 대해 더 많은 부양책 요구를 촉발할 것이라고 봤다. 코넬 대학의 중국 금융전문가 에스와르 프라사드는 FT에 “중국 정부는 문제가 더 걷잡을 수 없게 되기 전에 신속하고 단호하게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