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혁 장관은 이날 출입기자단과의 오찬 자리를 가지고 “3년 1개월 동안 국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는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직원들의 배려에 힘입어 대과 없이 여기까지 온 것 같다”고 말했다.
|
문 장관은 또 “해운재건을 기적같이 이뤄낸 것도 정책을 초기에 얼마나 잘해야되는지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해운재건이 되지 않았다면 우리나라 입장에서 수출입 물류 대란이 났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문 장관은 “수산 쪽으로는 수산혁신2030, 공익직불제도 정책적 성과”라면서 “그 중에서도 어촌뉴딜300 사업은 다음 정부에서도 계속 살려나가려고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4일 문재인 정부의 ‘어촌뉴딜300’ 사업에 대해 사회간접자본(SOC) 중심이 아닌 어민이나 어촌 중심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어촌뉴딜300 사업은 기본적으로 항구 개선 사업”이라고 말했다.
문 장관은 “항구와 정주여건 개선이 안 되면 다른 부분은 소용이 없다. 개선이 된 후에 그 지역 특성에 맞게 시설이 개발돼야 할 것”이라며 “예산 배분 과정에서도 시설 중심으로 60%을 배분한다면 40%은 외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곳에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쉬웠던 정책과제로는 근해선박 안전 정책을 꼽았다. 문 장관은 “코로나19가 없었으면 본격적으로 근해선박 약 2500척을 다 바꾸려고 했지만 코로나가 터지는 바람에 (추진하지 못했다)”면서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사고가 나는 대표적 선박들이 근해선박으로 아주 열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차기 정부에서도 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잘 해나가길 당부했다. 문 장관은 “해운재건, 어촌뉴딜300, 탄소 중립 관련 친환경 선박 교체 등 해수부가 가야 할 길은 정해져 있다”면서 “조승환 장관 후보자가 부 내에서 오래 일한 사람이기 때문에 잘 해결해 내시리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문 장관은 또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고 얘기하듯 저도 해수부 OB가 되는데, 안에 있든 밖에 있든 무조건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문 장관은 퇴임 이후 현재 휴직 중인 스웨덴 세계해사대(WMU) 교수직으로 복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