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코리아는 20일 서울 삼성동 시스코 코리아 사무실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5G가 가져올 통신산업계 변화와 한국 시장 전략을 발표했다.
미디어 브리핑에 참석한 크리스 헥처 시스코 아태 및 일본지역 통신사업 총괄사장은 “시스코는 5G에 대해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서 “거대한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자체에 대한 변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오는 2020년에는 클라우드 트래픽이 2015년 보다 약 4배, 5G 단말기 트래픽은 LTE 보다 4.7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디오 트래픽은 전체 IP(프로토콜) 트래픽의 8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으로 2조달러 규모의 사업 기회가 통신사업자에게로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통신사 매출의 많은 부분이 일반 소비자로부터 창출됐지만, 5G 시대에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시스코는 전망했다. 또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도 절반이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VR), 스마트 시티, 커넥티드카 등 사물이나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
자율주행차의 경우 조금이라도 네트워크 통신에 차질이 생기면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기존보다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다.
시스코는 이를 위해 통신사업자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고 수익성 개선을 위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시스코의 5G 아키텍처는 △인프라스트럭처 △앱스트랙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등 3개 층(layer)으로 구성된 오픈 네트워크 아키텍처다. 자동화가 특징이며 통신사업자는 운영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운영비용도 줄일 수 있다. 현재 AT&T, 콤캐스트, 텔스트라, 도이치텔레콤 등 약 25개 글로벌 통신사업자가 시스코 오픈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활용하고 있다.
헥처 사장은 “지난 20~25년간 네트워크가 구축된 과정을 보면 취약하고 번거롭게 만들어졌다. 모바일과 음성 등을 위한 네트워크가 다 따로 구축됐지만 이제는 하나로 통합되도록 구현돼야한다”면서 “시스코는 이를 위해 네트워크 간소화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공지능(AI)이나 머신러닝을 사용해서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스스로 치유가 가능한 네트워크 자동화, 효율성과 규모를 확보할 수 있는 가상화 기술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헥처 사장은 “5G 네트워크 현실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인프라스트럭처 변혁이 필요하다”면서 “통신사업자에게 필요한 것은 속도, 가속화, 효율성 증대, 리스크 저감 등이며 다양한 서비스로부터 더 빨라진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